총 2개
-
기흉의 정의2024.09.291. 기흉 개요 1.1. 기흉의 정의 사람의 폐는 두 겹의 얇은 막에 둘러싸여 있는 기관으로, 장측흉막이 폐를 감싸고 그 위에 다시 벽측흉막이 덮고 있는 구조를 띄고 있다. 정상 상태라면 두 막 사이는 거의 공간이 없을 정도로 붙어 있다. 이 공간을 바로 흉강이라 하는데, 여러 이유로 흉강에 공기가 차게 되는 질환을 기흉. 혹은 공기가슴증 이라 한다. 기흉이 생기면 폐가 허탈상태에 이른다. 즉, 정상적으로 폐 안을 채우고 있어야 할 공기가 빠져나가서 폐 일부가 바람 빠진 고무풍선처럼 된 상태가 된다.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이 생기고 ...2024.09.29
-
폐 쐐기 절제술2025.01.21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병태생리 기흉이란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이 합쳐진 말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폐와 흉벽 사이에 약 10~15cc의 흉수가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이 흉막강에 공기가 차게 되면 폐가 찌부러지게 되어 호흡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흉의 발생 원인은 크게 넷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폐 조직 내에 발생한 공기 주머니(기...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