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한국어 교수요목 중 상황중심 교수요목의 주요원리2024.10.011. 서론 1.1. 교수요목의 개념 정의 교수요목이란 교육 내용과 그 내용을 어떤 순서로 배열할 것인지에 관한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교수요목을 '학교 교육에서 교과목마다 반드시 가르쳐야 할 줄거리'로 정의하고 있다. 교수요목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맥케이(1978)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핵심 내용과 배울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원리를 제공해놓은 것"이라고 하였고, 쇼(1994)는 "학과의 내용을 상세화하고 배울 항목의 순서를 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 과정 활동의 ...2024.10.01
-
주요 교수 요목의 개념과 특징2024.10.081. 서론 우리나라의 국력신장과 한류열풍에 힘입어 아시아국가를 넘어 전세계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오늘날에 이르러 한국어는 명실공히 국제언어라고 볼 수 있다.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00만여 명이며 전 세계 언어 중 모어 언어 사용자 수에 따른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가 급증하고 있다. 본 과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2.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이란 교육 내용과 그 내용을 어떤 순서로 ...2024.10.08
-
문법적 교수 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2024.10.081. 교수요목의 개념과 종류 1.1.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이란 교육 내용과 순서, 방법의 개요를 보여주는 교육 과정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맥케이(1978)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핵심 내용과 배울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원리를 제공해놓은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쇼(1994)는 '학과의 내용을 상세화하고 배울 항목의 순서를 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 과정 활동의 일부'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리차드(2001)는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목록과 코스 교육 내용에 관한 것'이라고 정의하였...2024.10.08
-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배열 원리를 서술하고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원리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하시오2024.11.141. 한국어 교수요목의 이해 1.1.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교육관 및 언어관에 따라 실제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교수요목(Syllabus)이 필요"하다고 정의된다. 교수요목은 교육과정(Curriculum)과는 다소 다르게 정의되는데, 교수요목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쇼(1994)는 '학과의 내용을 상세화하고 배울 항목의 순서를 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과정 활동의 일부'라고 정의하고 있고, 맥케이(1978)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핵심 내용과 배울 내용을 어떻게 선정...2024.11.14
-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배열 원리를 서술하고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원리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하시오2024.11.0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1.1. 문법 교육의 필요성 1.1.1. 한국어 문법의 역할 한국어 문법은 한국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구사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첫째, 문법은 문장을 만들어 내는 기계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학습자들은 문법 교육을 통해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동사 + (으)ㄹ 줄 알다/모르다' 문법을 습득하면 동사만 바꾸어 다양한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 둘째, 한국어 문법은 정교한 의미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한국어는 어미와 조사, 보조 용언 등이 발달하여 미묘한...2024.11.01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2024.09.04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 증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한류 열풍에 힘입은 바가 크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사용자가 7,700만 명에 이르며,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응시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국가를 넘어 유럽과 북미 등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한국의 국력 신장과 더불어 한국어가 국제적인 언어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2024.09.04
-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배열 원리를 서술하고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원리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하시오2024.09.04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1.1.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한류 열풍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인해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이 점차 높아지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어로서의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다. 모든 외국어 학습의 목표가 그렇듯 외국어로서 교육되고 학습되는 한국...2024.09.04
-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재의 특성에 대한 내적 외적구성을 분석한 후 자신이 생각하는 해당 교재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서술2024.08.16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재 개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재 개발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세종학당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해 "세종한국어"라는 표준 교재 8권을 개발하였다. 이 교재는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배양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확장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종한국어 교재는 먼저 학습자의 성향과 학습 목적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세종학당이 개설된 다양한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최...2024.08.16
-
문법적교수요목2024.09.051. 교수요목의 정의와 종류 1.1.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이란 교육 내용과 순서, 방법의 개요를 보여주는 교육 과정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맥케이(1978)는 교수요목을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핵심 내용과 배울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원리를 제공해놓은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쇼(1994)는 ""학과의 내용을 상세화하고 배울 항목의 순서를 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 과정 활동의 일부""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리차드(2001)는 교수요목을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목록과 코스...2024.09.05
-
절차중심 교수요목 한국어 교육 적용 방안2025.02.051. 서론 1.1. 절차중심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성 절차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교실 수업에 참여하는 활동과 과제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여기서 "과제"는 학습자가 주어진 지시를 통해 결과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활동으로 정의되며, 지도보기, 일정 해석, 방향 결정, 올바른 설명 또는 행동 결정, 여행 계획, 지시대로 그림 그리기, 물건을 더 저렴하게 구입할 곳 결정 등이 포함된다. 절차중심 교수요목은 상황과 맥락을 중시하고 과제 중심이며 과정을 중시한다.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과정, 즉 실제적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는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