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폐렴 케이스2024.09.291. 폐렴의 정의와 특징 1.1. 병인 정상적으로 후두부터 기도말단까지는 감염으로부터 여러 가지 생리적 방어기전으로 인하여 보호받는다. 물리적 방어기전은 공기여과, 후두개의 기도차단, 기침반사, 점액섬모의 상승기전, 기관지수축반사를 포함한다. 면역 방어기전은 면역글로불린 A와 G 부니, 폐포대식세포를 포함한다. 폐렴은 대개 방어기전이 불완전하거나 감염원의 독성이 강하거나 수가 많을 때 발생한다. 의식저하 시 기침반사와 후두개반사가 저하되어 구인두 내의 내용물이 폐로 흡입된다. 기관삽관을 한 경우 정상 여과기전을 거치지 않게 하고,...2024.09.29
-
심박출량 감소 간호과정2024.12.101. 심박출량 감소의 간호진단 및 관리 1.1. 심박출량 감소의 정의 및 원인 심박출량 감소는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심장으로부터 박출되는 혈액량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심장 기능의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다양하다. 첫째, 심근 허혈은 심박출량 감소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관상동맥 질환, 급성 심근경색, 심근 손상 등으로 인해 심근 세포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근 기능이 저하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감소하게 된다. 둘째, 심장 판막 질환도 심박출량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024.12.10
-
폐엽절제술간호진단2024.09.081. 폐암 개요 1.1. 폐암의 정의 폐암은 폐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90%가 기관지암에 속하며 기관지나 세기관지로부터 발생하므로 기관지성 암이라고도 한다. 과거 서양 남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었으나 1995년 이후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다. 2020년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암 발생은 총 243,837건이며, 그 중 폐암은 총 28,628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1.7%로 3위를 차지했다. 성별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폐암은 전체 남성 암 중 15.2%(19,524건)으로 2위,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