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 및 교수방법 분석2024.10.091. 서론 1.1. 한국어 교육문법의 문법 항목 및 용어 설명 한국어 교육문법의 문법 항목 및 용어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육문법에는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이 있다. 문법 형태에는 조사, 어미 등이 포함되며, 문법 표현에는 부정표현, 사동표현 등과 같은 문법 범주와 조사 결합형, 어미 결합형,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 등의 공기 표현이 있다. 문법 형태는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작은 단위이며, 문법 표현은 보다 큰 단위의 문법적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사 '-을'과 어미 '-었-...2024.10.09
-
배움 한국어교원 실습 보고서 참관2024.11.211. 한국어 문법 교육 1.1. 과거-현재 문법 표현 학습 1.1.1. 'A/V-더니'의 용법 이해 "'-더니'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표현이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과거-현재' 용법이다. 이는 특정 사건이나 상황이 과거와 현재에 서로 다르게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지난주에는 쌀쌀하더니 오늘은 따뜻하네요."와 같은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지난주)에는 날씨가 쌀쌀했지만 현재(오늘)는 따뜻해졌음을 표현한다"". 둘째, '원인-결과' 용법이다. 이는 어떤...2024.11.2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언어 소개2025.02.261. 서론 외국어 학습에 있어 언어의 음운체계, 문법 구조, 어휘 등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언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헝가리어의 언어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헝가리어는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유럽 내에서도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음운체계, 어순과 문장구조, 품사별 주요 어휘 등을 분석하여 헝가리어의 언어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헝가리어 학습의 기초를 마련하고, 나아가 타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언어 간 차이와 유사점을...2025.02.26
-
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으)ㄹ 것 같다2024.09.051. '-을 것 같다'의 언어 정보 1.1. 어미 '-을' 어미 '-을'은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어미 '-을'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미 '-을'은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명사나 다른 문장 성분 앞에 놓여 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받을 수", "믿을 게" 등에서 '-을'은 앞말인 '받-', '믿-'을 관형어로 만들어 준다. 둘째, 어미 '-을'은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2024.09.05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어미비교2024.10.181.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1.1. 서론 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활용 시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인 어말 어미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문법형태소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보조용언이라고도 한다. '가-'라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동사의 어간인 '가-'는 '-다, -게, -지, -니'등과 같은 어말 어미와 연결되어 '가다, 가게, 가지, 가니'와 같은 활용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사의 어간을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 어미가 늘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가더라, 갔었다, 가겠다'등...2024.10.18
-
한국어 참관보고서 6주2024.10.271. 참관보고서(6주) 1.1. 'V-(으)ㄴ적이 있다/없다', 'V-았/었다가'/ 'N-(이)라서' 학습 'V-(으)ㄴ적이 있다/없다'는 어떤 동작을 가끔씩 하거나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 책을 빌린 적이 있다"와 같이 불특정한 시간에 책을 빌렸다는 것을 표현한다. 또한 '없다'를 사용하면 그 동작을 해본 적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V-았/었다가'는 어떤 동작을 했다가 다시 한 번 더 하게 되었거나 다른 동작을 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찾았다"와 같이 ...2024.10.27
-
토익 52024.09.251. 영어 문법 학습 1.1. 명사 품사 어형 문제 명사의 품사 어형 문제는 출제되는 문장 안의 빈칸이 전체 문장의 주어/보어/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 자리임이 확인되면 보기에 정답이 되는 명사와 어원이 같은 파생어들, 형용사형, 부사형, 동사형이 나와 있는 형태로 나와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문장에서 명사 자리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보기 중에 명사형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명사 자리는 크게 3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주어 자리인 "주어+동사+보어/목적어" 구조에서 빈칸이 주어 자리이다. 둘째, 목적어 자리인 "...2024.09.25
-
한국어 초급 교안2024.11.011. 초급 문법 '았/었/였-' 1.1. '-았/었/였-'의 기능과 형태 '-았/었/였-'은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로,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이는 현재와 구분되는 과거의 사실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았/었/였-'의 형태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먼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이 'ㅏ/ㅗ'로 끝나는 경우에는 '-았-'이 결합한다. 예를 들어 '가다'는 '갔-', '보다'는 '봤-'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이 'ㅏ/ㅗ' 이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경...2024.11.01
-
토익숙어2024.11.051. TOEIC 어휘 1.1. PART 별 TOEIC 어휘 1.1.1. part 1 단어 253선 part 1 단어 253선은 TOEIC 시험의 부분 1에 해당되는 단어들로, 총 253개의 주요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어들은 TOEIC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필수적인 어휘들이며, 실제 대화 및 글에서 많이 사용되는 어휘들이다. 이 단어들은 다양한 주제와 범주에 걸쳐 있는데, 크게 일상생활, 업무 환경, 교통, 시간과 공간, 숙박 및 여행, 쇼핑 등의 영역을 포함한다. 단어들의 품사도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으로 ...2024.11.05
-
한국어의 품사를 기능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 품사의 에늘 10개씩2024.10.011. 한국어의 품사 1.1. 품사 분류의 기준 품사 분류의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이다". 품사 분류에서 "형태"란 문장 속에서 단어들이 나타나는 모습을 말한다. 즉, 단어가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화하는지 여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뉜다." "기능"은 단어가 문장 안에서 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문장 성분과의 관계에 따라 단어를 분류할 수 있다.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나뉜다." "의미"는 개별 단어의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인 의미를 말한다. 즉, 단어가 나타내는 개...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