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adsp2025.02.021. 데이터 이해 1.1.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문자로 표현되어 저장·검색·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반면,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도형·기호로 표현되어 간단하게 정형화되어 있어 비용 소모가 적다. 정성적 데이터는 인과 관계와 맥락의 이해가 가능하나 정량화하기 어려우며, 정량적 데이터는 수량화와 통계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며,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분석 기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장단점을 ...2025.02.02
-
지식경영의 SECI 의미2024.10.201. 지식의 개념과 유형 1.1. 지식의 정의 지식(Knowledge)은 지식정보 순환모형의 세 번째 단계로서 데이터와 정보보다 상위의 개념이다. 정보가 의미 있는 패턴으로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라면 지식은 정보가 타당한 행동기준으로 전환한 것이다. 가치판단 및 정보체계의 정태적인 역할의 정보에서 한 단계 상위인 지식은 의사결정 및 행동의 동태적인 역할을 한다. 지식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에 관한 똑똑한 의식과 그것에 대한 비판' 그리고 '알고 있는 내용 또는 그 범위'를 의미한다. 이는 '알고 있음' 혹은 있음에 대한 '체계적...2024.10.20
-
ADSP2025.07.111. 데이터 이해 1.1. 데이터의 유형 데이터는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로 구분된다.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나 문자로 표현된 데이터로, 저장과 검색, 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반면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 도형, 기호로 표현된 데이터로, 간단하고 정형화되어 있어 비용이 적게 든다. 정형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나 CSV와 같이 형식이 정해진 데이터를 말한다. 반정형 데이터는 센서 데이터와 같이 눈으로 봤을 때 무슨 정보인지 알기 어려운 데이터로, 한 번의 변환이 필요하다. 비정형 데이터는 소셜 데이터, 영상, 이미...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