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산후출혈2024.09.121. 산후출혈의 정의와 분류 1.1. 정의 산후출혈은 질식 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산부들은 임신기간 동안 혈액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산후출혈에 견딜 수 있다. 1.2. 조기 산후출혈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대부분이 자궁의 이완과 관련이 있다. 임신 중 4~6%에서 발생하며, 그중 약 90%가 자궁무력증이 원인이다. 또한 산도열상, 혈종, 자궁내번증 등이 그 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무력증은 자궁근육...2024.09.12
-
자연분만 산후출혈 간호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의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산후출혈은 산모의 적혈구 용적률이 10%가 감소하거나 분만 전 수치보다 감소 또는 혈류역학적인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과다출혈로 수혈이 필요한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는 단단하게 수...2024.09.17
-
태반효과2024.09.141. 돈태반의 면역 조절 효과 1.1. 서론 피로란 흔히 신체적 불편감을 수반하는 불편감이며 권태감, 무력감 등 에너지가 소모되어 지치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임상적으로는 자발적인 활동의 시작을 어려워하거나 지속하지 못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질병의 전조 증상으로 경고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의 인구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따라서 피로 유병률은 14~25%까지 이른다. 피로는 원인과 상관없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지속성 피로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만성 피로로 분류한다. 만성 피로는 여러 원인으로...2024.09.14
-
비효과적 기도청결2024.10.031. 뇌출혈 1.1. 정의 뇌출혈이란 뇌조직 안의 혈관이 터져서 직접적인 뇌 손상이 생긴 것으로, 크게 자발성으로 생긴 경우와 외상에 의해 생긴 경우로 분류되며, 이 중 자발성 뇌출혈(뇌내출혈)만 출혈성 뇌졸중이라 지칭한다. 1.2. 원인 뇌출혈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이다. 뇌출혈의 약 75%는 고혈압 때문에 뇌혈관의 약한 부분이 터짐으로써 발생한다. 뇌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혈관이 장기간 고혈압에 노출되면 변화가 생긴다. 이럴 때 과도한 흥분이나 정신적 긴장, 과로 등의 요인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면 혈관이 견디지 못...2024.10.03
-
PPH 간호과정2024.10.22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임상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산후출혈 질환을 고민하다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이다. 분만 후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1.2. 산후출혈 관련 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분만 후 출혈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9년 3,961명으로 4년 사이(2015년~2018년) 약 30%가량 감소했다"이다. 또한 2019년 산후출혈의 내원일수를 살펴보면 30-34세가 가장 많았으며, 35-39세, 25-29세가 순으로 뒤를 이었다. 산후 출혈은 산모 50명당 1...2024.10.22
-
Pph2024.09.301. 산후출혈의 정의 및 분류 1.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이란 질식 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산부들은 임신기간 동안 혈액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산후출혈에 견딜 수 있다. 1.2. 조기 산후출혈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매우 많고 이환율이 높다. 임신 말기에 들 수혈액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해서 심박출량의 20% 혹은 분당 600mL의 혈액이 태반을 관류하면서 태아...2024.09.30
-
산후출혈 간호과정: 체액부족, 감염, 불안2024.09.291. 서론 1.1. 산후출혈의 정의와 병태생리 과다출혈은 태반 박리에서 만출 때까지의 기간에 발생하며 대개 불완전한 태반 박리, 과도한 자궁저부 압박, 무리한 제대견인 등의 결과이다. 태반 만출 후 지속적이거나 과다한 출혈은 대개 자궁근육 수축 부전 또는 수축 유지보전에 따른 자궁무력증에서 기인되거나 질내로 자궁이 탈수된 결과이다. 분만 후에 자궁, 자궁경부, 질, 그리고 회음부 등의 다양한 곳에서의 과도한 출혈을 포함하는 임상적인 진단이며, 산후출혈 진단의 기준으로는 Hb, Hct 수치가 10% 이상 감소하는 경우와 질 분만 후...2024.09.29
-
산후출혈 간호진단2024.11.301. 서론 1.1. 연구목적 산후출혈은 분만 후 겪을 수 있는 응급상황 중 하나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질 분만 후 24시간 이내 출혈량이 500㎖ 이상일 경우로 정의된다.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수반되지 않으면 임산부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징후이다. 지난 10년(2009년~2018년) 간 연평균 모성 사망자 49.8명 중 20~30%가 산후출혈로 목숨을 잃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출혈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및 간호...2024.11.30
-
Fatime Sanogo2024.10.121.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1.1. 정의 산후출혈의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도한 출혈로 인해 현기증, 허약감, 심계항진, 발한, 혼돈과 같은 증상이나 저혈압, 빈맥, 핍뇨, 낮은 산소포화도(95% 이하)와 같은 저혈량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도 산후출혈로 정의하고 있다. 산후출혈은 크게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조기(일차성) 산후출혈과 분만 24시간 이후...2024.10.12
-
두개내 고혈압2024.11.121. 서론 1.1. 뇌졸중과 뇌내출혈 뇌졸중은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을 총칭하며, 뇌의 갑작스러운 혈류 감소로 인한 중추신경계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응급상황을 의미한다. 뇌혈관이 색전이나 혈전, 죽종으로 인하여 폐색되거나 출혈이 발생하면 뇌졸중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은 허혈성과 출혈성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성 폐색과 색전성 폐색으로 다시 분류되고, 출혈성 뇌졸중은 뇌내 출혈과 거미막하 출혈로 구분된다. 뇌내 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