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혈액응고장애 정의와 치료2024.09.131. 혈액 응고 과정 및 장애 1.1. 지혈 과정 지혈은 출혈이 멈추는 현상으로, 혈액 응고체계가 관여한다. 지혈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이 수축한다. 이를 통해 출혈을 줄여 초기 지혈을 도모한다. 둘째, 손상된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어 일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혈소판은 ADP와 TXA2를 분비하여 다른 혈소판의 부착을 촉진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출되어 트롬빈이 생성되고, 트롬빈은 섬유소원을 섬유소로 바꾸어 이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넷째, 다양한 응고 및 항응고 인...2024.09.13
-
초파리 눈 반성유전2024.08.221. 서론 1.1. 반성유전의 개념과 특성 반성유전이란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에 의해 일어나는 유전 현상으로, 어떤 유전자가 X염색체 또는 Y염색체에 있어서 성에 따라 그 출현 빈도가 달라지는 유전 현상을 말한다. X염색체 연관 유전자의 경우 혈우병, 색맹, fragile-X syndrome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Y염색체 연관 유전자의 경우 오직 남성에게서만 발현되는 이모증(heterotrichosis)이 그 예이다. 반성유전에서 중요한 점은 성염색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다. 여성은 X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2024.08.22
-
초파리 눈 반성유전 실험 결과2024.08.221. 서론 1.1. 반성유전과 초파리 유전 실험의 중요성 반성유전과 초파리 유전 실험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반성유전은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에 의해 일어나는 유전 현상으로, 성별에 따라 그 유전 형질의 발현 빈도가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람에서는 색맹과 혈우병이 대표적인 반성유전 사례이며, 초파리에서는 흰눈 돌연변이가 이에 해당한다. 초파리는 유전학 연구에서 최초로 사용된 실험동물이자 가장 잘 알려진 생물 모델로, 암수의 구분이 쉽고 형질 관찰이 용이하여 반성유전을 비롯한 다양한 유전 양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효과적...2024.08.22
-
혈우병 치료2024.08.281. 혈우병의 개요 1.1. 혈우병의 정의 혈우병이란 응고인자의 결핍이나 결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혈액응고장애 질환이다. 결핍된 응고인자 종류에 따라 혈우병A(응고인자VIII 결핍), 혈우병B(응고인자IX 결핍), 혈우병C(응고인자XI 결핍) 등이 있다. 성염색체열성으로 유전하기 때문에 대부분 남아에서만 볼 수 있지만, 전체 혈우병의 20 - 30%정도는 가족력 없이 개체 돌연변이에 의해 나타난다. 혈우병의 종류를 응고인자의 농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정상인의 혈액 내 응고인자 농도를 100%로 하였을 때 1%이하를 중증...2024.08.28
-
혈액질환 문제2025.01.101. 혈액질환의 이해 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고 감염과 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혈액은 혈장(55%)과 혈구(45%)로 구성된다. 혈장은 주로 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적혈구는 혈액의 40%를 차지하며, 그 주요 기능은 산소를 폐에서 조직으로 운반하고 세포 대사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것이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평균 수명은 120일이다. 적혈구가 부족하면 빈혈이 발생한다. 백혈구는 정상적인 경...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