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중환자실 flow sheet2024.09.09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1.1. 중환자실의 종류 중환자실의 종류는 크게 진료에 따른 분류, 장기에 따른 분류, 증상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진료에 따른 분류에는 내과계 중환자실(MICU: Medical ICU), 외과계 중환자실(SICU: Surgical ICU), 소아 중환자실(PICU: Pediatric ICU), 신생아 중환자실(NICU: Neonatal ICU), 산과 중환자실(FICU: Fetal-Maternal ICU)이 있다"" 장기에 따른 분류에는 호흡기계 중환자실(RICU: Respiratory IC...2024.09.09
-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2025.02.261. 서론 1.1.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의 개요 혈역학 감시(hemodynamic monitoring)란 혈역학적 불안정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혈역학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혈압, 맥박수, 중심정맥압, 말초산소포화도 등의 기본적인 방법부터 일회박출량변동, 맥박압변동, 심초음파, 비침습적 생체임피던스 등 다양한 방법들이 혈역학적 감시에 이용되고 있다. 외상 및 패혈증 등의 중증 환자에서 산소의 공급과 전달, 소비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2025.02.26
-
중환자실 안전관리2024.09.091. 중환자실 환경 및 시설 1.1.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은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에는 응급중환자실(ACU), 심장내과중환자실(CCU), 흉부외과중환자실(CSICU), 내과중환자실(MICU), 신생아중환자실(NICU), 신경내과중환자실(NRICU), 신경외과중환자실(NSICU), 소아중환자실(PICU), 외과중환자실(SICU)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은 각각 담당 질환이나 연령대에 따라 구분되어 운영된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병원의 중앙에 위치하는 ...2024.09.09
-
성인중환자실사전과제2025.02.181. 서론 중환자실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급성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위해 존재한다. 다양한 감시 장치와 충분한 간호 및 의료 인력을 갖추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며 중요 장기의 손상을 예방, 치유, 혹은 최소화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원적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어 병원의 중앙에 위치하고, 수술실, 회복실 등과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간호와 모니터링이 다르므로, 중환자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와 주어진 간호 내용을 자세히 파악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한...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