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인체구조와기능문제2024.09.131. 인체 관련 용어 1.1. 맥박지점 맥박지점은 동맥벽의 진동을 피부 윗면에서 촉지할 수 있는 부위로, 이를 통해 심장 박동수와 심장의 리듬을 파악할 수 있다. 맥박지점은 주로 몸의 표면에 있는 동맥에서 촉진할 수 있으며, 주요 맥박지점에는 목동맥(경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대퇴동맥, 후경골동맥 등이 있다. 목동맥 맥박은 목의 측면을 세로로 따라 내려가다 보면 촉지할 수 있으며, 상완동맥 맥박은 팔의 내측부 상부에서 촉진할 수 있다. 요골동맥 맥박은 손목의 엄지 쪽에서, 대퇴동맥 맥박은 서혜부에서, 후경골동맥 맥박은 발...2024.09.13
-
수혈2024.09.29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blood transfusion)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 요법은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ABO 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들어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 전파의 우려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1....2024.09.29
-
수혈과정 및 간호중재2024.11.031. 수혈 1.1. 수혈의 정의와 목적 수혈은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한다. 수혈의 목적은 심한 출혈 후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성분(응고인자, 혈소판, 혈장 등)을 구분해서 보충하며, 만성빈혈 시 적혈구를 보충하고 혈색소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혈은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혈액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2024.11.03
-
수혈 시나리오2024.11.171. 수혈 간호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한다. 17세기 초 윌리엄 하비(Willian Harvey)에 의해 혈액 순환에 대한 근대적인 개념이 정립된 후 동물의 피를 사람에게 수혈하는 치료법이 시도되었다. 19세기 초에는 출혈이 심한 환자에게 공여자의 동맥을 환자의 정맥에 연결한 후 주입하는 직접 수혈 요법이 시행되었으나, 당...2024.11.17
-
수혈2024.08.221. 서론 1.1. 수혈의 정의와 목적 수혈(blood transfusion)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의 목적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이며, 빈혈 대상자의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고, 부족된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2024.08.22
-
혈액학2024.08.281. 혈액의 일반기능 1.1. 가스 대사 혈액은 허파꽈리로부터 각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여 에너지 생성을 위한 산화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은 선홍색을 띠며, 조직에서 산소가 소비된 후 이산화탄소가 혈액에 축적된 정맥혈은 암적색을 띠는 것이 그 특징이다. 혈액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은 적혈구 내부의 혈색소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혈색소는 철 이온을 포함한 단백질로 효과적인 가스 운반체 역할을 한다. 적혈구 내부의 혈색소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조직으로 운반하고, 조직에서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여 폐로 운반한다...2024.08.28
-
구강생리학 요점정리2024.08.31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1. 세포소기관의 종류와 기능 세포소기관의 종류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핵은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사립체)는 세포호흡과 에너지 생산의 장소이자 ATP를 저장하며, 자가증식이 가능한데 이는 핵에 DNA가 있기 때문이다. 리보솜은 단백질 합성의 장소이다. 과립형질내세망은 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을, 무과립형질내세망은 지질 합성 및 칼슘 저장을 담당한다. 골지체는 물질의 저장고 역할을 하며, 용해소체(리소좀)는 가수분해효소를 함유하여 세포 내 소화작용과 해독작용을 한다. 중심소체는 세포분...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