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헌혈 증진 방안2024.10.161. 혈액관리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혈액관리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수혈자와 헌혈자(獻血者)를 보호하고 혈액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혈액"이란 인체에서 채혈(採血)한 혈구(血球) 및 혈장(血漿)을 말한다. "헌혈자"란 자기의 혈액을 혈액원에 무상(無償)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혈액원"이란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6조제3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혈액관리업무"란 수혈(輸血)이나 혈액제제(...2024.10.16
-
수혈 QI2024.10.221. 주제: 수혈 간호 적정성 확립 1.1. 주제선정의 배경 및 목적 수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수혈오류의 근본원인을 인식하고 근거중심의 표준화된 실무지침서를 준수하여 수혈오류를 예방하고 수혈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며 수혈 부작용이나 오류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수혈의 각 단계별마다 실무지침서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혈환경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이 주제를 선정한 배경 및 목적이다. 1.2. 팀 구성 팀은 서, 기, 팀원으로 구성되었다. 서와 기는 팀장과 팀서기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팀원들...2024.10.22
-
수혈관리2024.10.281. 수혈 관리 지침 1.1. 목적 수혈환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적정한 시간에 혈액이 수혈되고 수혈 시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수혈환자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혈은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과다한 출혈, 빈혈, 혈액성분 결핍 등 다양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혈은 부작용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지침의 목적은 안전한 수혈 절차와 수혈환자 관리를 통해 수혈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2024.10.28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조직학 요약2024.10.091. 조직검사학 1.1. 조직검체 및 육안검사 1.1.1. 생검검체의 종류 1.1.1.1. 펀치생검 펀치생검은 피부 및 자궁외경부 용종 절제술에 사용되는 생검 방법이다. 펀치생검은 피부나 자궁 외경부의 병변 부위에서 조직의 일부를 원통 모양으로 떼어내 채취하는 기법이다. 이 방법은 특수한 펀치 생검기기를 사용하여 조직을 채취한다. 펀치생검의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 병변의 진단에 사용된다. 둘째, 자궁경부의 점막을 절제하여 양성 및 악성 병변을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셋째, 점막하 절제술(EMR)과 점막하 절제...2024.10.09
-
간호사국가고시문제2024.10.081. 의료법 1.1. 총칙 의료법의 총칙은 다음과 같다. 의료법의 목적은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료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인의 종류와 임무, 사명을 정의하고 있다.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등 의료인의 자격과 면허, 권리와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관의 개설, 종류, 기준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의료기관에는 의원급(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병원급(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종합...2024.10.08
-
요양원의학품일지2024.10.091. 의료법 1.1. 총칙 이 법은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료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하며, 의료인은 각자의 임무를 수행하여 국민보건 향상과 국민의 건강한 생활 확보에 이바지할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의료기관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원급 의료기관과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2024.10.09
-
보건의약관계법규2024.12.271. 보건의약 관련 주요 법규 1.1. 보건의료기본법 보건의료기본법은 모든 국민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국민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은 국민 보건의료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국민 건강 보호 및 증진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여성,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증진 정책을 명시하고 있으며, 학교, 산업장, 지역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2024.12.27
-
의료관리사 요약2024.12.211. 의료법과 관련된 법규 1.1. 검역법 검역법은 우리나라로 들어오거나 외국으로 나가는 사람, 운송수단, 화물을 검역하고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내외로 감염병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국민의 건강을 유지,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검역감염병이란 콜레라, 페스트, 황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중동 호흡기 증후군(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과 질병청장이 긴급 검역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감염병을 의미한다"" 국가는 검역 업무 ...2024.12.21
-
보건의약 법규와 간호업무 판례 분석2024.12.111. 무면허 의료행위 관련 판례 1.1. 판례 개요 대법원 2014. 9. 4. 선고 2012도16119 판결에 따르면, 피고인 1은 서울 마포구 소재 ○○○○병원 응급실 의사이고, 피고인 2는 같은 병원 응급실 간호사이다. 피고인 1은 2008. 8. 23. 22:00경 계단에서 떨어져 두부열상을 입고 내원한 공소외인에 대하여 두부 시티촬영 등 검사를 거쳐 열상부위 봉합 등 치료를 한 후 2008. 8. 24. 01:00경 퇴원하도록 하였고, 피고인 2는 이를 보조하였다. 공소외인은 2008. 8. 24. 17:00경 입에 거품...2024.12.11
-
보건의료법규 정리2024.11.261. 개요 1.1. 법규의 개요 1.1.1. 우리나라의 법령체계 우리나라의 법령체계는 헌법을 정점으로 하여 법률 - 대통령령 - 총리령 및 부령 - 자치법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헌법은 대한민국 모든 하위법령의 제정과 개정의 기준이 되는 최상위 법규범으로, 국가의 통치조직과 통치 작용의 원리를 정하고 국민의 권리와 의무 등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법률은 국회에서 제정되는 성문법으로 헌법 다음으로 효력을 가지며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우선한다. 각 중앙행정기관에서는 해당 업무에 관한 정책 집행을 위해 법률안을 마련한다. 대통령...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