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헌혈 증진 방안2024.10.161. 혈액관리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혈액관리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수혈자와 헌혈자(獻血者)를 보호하고 혈액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혈액"이란 인체에서 채혈(採血)한 혈구(血球) 및 혈장(血漿)을 말한다. "헌혈자"란 자기의 혈액을 혈액원에 무상(無償)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혈액원"이란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6조제3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혈액관리업무"란 수혈(輸血)이나 혈액제제(...2024.10.16
-
구강 낸 악성종양과 양성종양 차이2024.10.091. 종양의 분류와 명명법 1.1. 종양의 분류 1.1.1. 정의 종양은 주위조직과의 조화 없이 자율성을 지닌 조직으로 비정상적인 과다 증식을 하는 병변이다. 신체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구강, 입술, 뺨, 구강저, 구개, 혀 및 악골 등의 상피조직이나 결체조직에서 유래한다. 종양은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으로 구분되는데, 양성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되거나 방사선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며, 악성종양은 다른 조직으로부터 유래되거나 전이에 의해 발생한다. 1.1.2. 종...2024.10.09
-
Ⅰ, Ⅱ, Ⅲ osteotomy2024.10.011. 수술 및 치료 1.1. Acromioplasty(+RC repair) 1.1.1. Acromioplasty Acromioplasty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어깨뼈봉우리(견봉, acromion)의 아랫부분 2-3mm를 깎아 평탄화시키는 수술이다. 이는 상완골과 과도하게 자란 견봉돌기가 부딪히며 통증 및 염증이 나타나는 어깨 충돌증후군 환자들에게 시행된다. 이 수술은 구멍을 하나 뚫고 내시경으로 들어가 견봉돌기를 절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정식 명칭은 "A/S Acromioplasty 내시경적 견봉성형술"이다. 이는 피부...2024.10.01
-
대퇴전자간골절 케이스2024.11.071. 서론 1.1. 문헌고찰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넙다리뼈(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인 전자부에 발생하는 골절이다"" 이는 대퇴골 경부 골절보다 더 고령의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특히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를 겪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이 시기에 골다공증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혈액 공급이 풍부하므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뼈가 붙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퇴골두의 변형이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많은 경우 고령이면서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며, 심하게 다치지 않...2024.11.07
-
해부학 심장2024.09.091. 심장의 기능 1.1. 혈압의 발생 심장은 펌프 역할을 수행하여 혈액을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혈압이 발생한다. 혈압은 심장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데, 심장의 수축력이 강할수록 혈압은 높아진다. 심장이 수축하면 심실 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혈액이 심실에서 동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혈액이 혈관을 통해 빠르게 이동하면서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바로 혈압이다. 좌심실의 수축이 시작되면 좌심실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판막이 열리면서 혈액이 대동맥으로 밀려나가게 된...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