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인체구조와기능문제2024.09.131. 인체 관련 용어 1.1. 맥박지점 맥박지점은 동맥벽의 진동을 피부 윗면에서 촉지할 수 있는 부위로, 이를 통해 심장 박동수와 심장의 리듬을 파악할 수 있다. 맥박지점은 주로 몸의 표면에 있는 동맥에서 촉진할 수 있으며, 주요 맥박지점에는 목동맥(경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대퇴동맥, 후경골동맥 등이 있다. 목동맥 맥박은 목의 측면을 세로로 따라 내려가다 보면 촉지할 수 있으며, 상완동맥 맥박은 팔의 내측부 상부에서 촉진할 수 있다. 요골동맥 맥박은 손목의 엄지 쪽에서, 대퇴동맥 맥박은 서혜부에서, 후경골동맥 맥박은 발...2024.09.13
-
Vasopressor inotropics2024.09.271. 약물의 작용기전과 분류 1.1. 교감신경계 수용체의 작용 교감신경계 수용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α 수용체는 혈관과 위장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 자궁수축, 위장 평활근 이완, 췌장과 인슐린 분비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그중 α1 수용체는 혈관, 위장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과 자궁수축을 유발하고, α2 수용체는 췌장과 근육 혈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과 인슐린 분비 억제를 유발한다. β 수용체는 심장과 기관지, 혈관에 작용한다. β1 수용체는 심장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력, 자극전도,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2024.09.27
-
생리학 문제2024.10.01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생리학에서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인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노력한다. 이를 '항상성'이라 하며, 이는 음성되먹임 기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음성되먹임이란 내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를 최소화하려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체온조절 과정에서 체온이 상승하면 발한과 혈관확장을 통해 열을 방출하여 체온을 낮추는 것이 음성되먹임 기전이다. 이처럼 인체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내부 환경의 변화를 ...2024.10.01
-
약리학 중간고사2024.10.231. 서론 2학년이 되면서 전공 교과들이 이전 학년보다 꽤 늘어났다. 양도 양이지만 배우는 내용의 깊이가 1학년 때와는 달라졌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체제와 간호방법과 술기들을 배우는 기본간호학, 미생물들에 대해 구체적인 개념과 이에 발현될 수 있는 질환 및 증상들을 배우는 미생물학 그리고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 중 하나인 약물들의 종류와 기전, 주 용도와 그 주의사항을 배울 수 있는 약리학을 배우게 되었다. 사실 약리학이란 과목을 배우기 전에 선배 들께 미리 들은 게 많아서인지 걱정이 되었지만 ...2024.10.23
-
생리학 중간고사2024.09.081. 생리학의 기본 개념 1.1. 생리학의 정의 및 특성 생리학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지와 같은 총체적 기능을 연구하는 자연과학 분야이다. 생리학의 정의에서와 같이 "physio(자연, nature) + logy(학문, science)"의 합성어로, 자연의 성질이나 그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은 생명현상의 기전을 규명하고, 생물체의 생리적 특성과 반응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기능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조절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생리학의...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