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lab검사2024.09.181. 혈액 검사 개요 1.1. 일반 혈액 검사 1.1.1. 백혈구(WBC) 검사 백혈구(WBC) 검사는 혈액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백혈구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감염이나 외부 물질에 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서, 호중구, 림프구, 단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 다섯 종류로 나뉜다. 백혈구 검사는 감염, 염증, 면역 질환,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면 급성 감염, 홍역, 외상, 악성 종...2024.09.18
-
항혈전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2024.09.101. 항혈전제의 이해 1.1. 혈액응고 기전 혈액응고 기전은 출혈이 발생하면 초기에 혈관이 수축하여 손상된 부위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임시로 막는 것으로 시작된다. 혈관벽이 손상되면 내피 밑층이 노출되고, 혈소판이 혈관의 아교질(collagen)에 부착한다. 혈관에 부착한 혈소판은 활성화되어 여러 물질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변의 혈소판을 결합하게 하여 혈소판 마개(platelet plug)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혈관 내피세포에 조직인자(TF,tissue factor)가 발현되면 혈액내의 Ⅶ인자와 급속히 결합하여 혈액응고 인자의 활...2024.09.10
-
기본간호학-혈액응고이상과 순환장애 및 간호2024.09.251. 혈액 응고이상과 순환장애 1.1. 지혈(Hemostasis) 1.1.1. 출혈이 멈추는 현상 출혈이 멈추는 현상이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액 응고 체계가 관여하여 출혈이 자연스럽게 멈추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을 좁게 만든다. 이를 통해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둘째, 손상된 혈관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고 ADP와 TXA2와 같은 물질을 분비하여 주변 혈소판을 모아 일차 지혈 栓을 형성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2024.09.25
-
수혈간호2024.09.281. 수혈의 개념과 목적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혈은 혈액 성분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여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의료 행위를 의미한다. 1.2.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첫째,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둘째, 부족된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며 셋째, 빈혈 환자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고 넷째, 수혈 받는 동안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함이다....2024.09.28
-
혈액형 판정 실험 A2024.09.111. 혈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1.1. 서론 1.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체내를 순환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체액이다. 혈액은 크게 세포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며, 혈장에는 다양한 영양분, 호르몬, 면역물질 등이 용해되어 있다. 적혈구는 혈액 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장 많은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핵이 없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띤...2024.09.11
-
혈액응고장애 정의와 치료2024.09.131. 혈액 응고 과정 및 장애 1.1. 지혈 과정 지혈은 출혈이 멈추는 현상으로, 혈액 응고체계가 관여한다. 지혈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이 수축한다. 이를 통해 출혈을 줄여 초기 지혈을 도모한다. 둘째, 손상된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어 일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혈소판은 ADP와 TXA2를 분비하여 다른 혈소판의 부착을 촉진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출되어 트롬빈이 생성되고, 트롬빈은 섬유소원을 섬유소로 바꾸어 이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넷째, 다양한 응고 및 항응고 인...2024.09.13
-
혈액·체액 정상범위 및 검사방법2024.09.131. 혈액검사의 임상적 의미 1.1. Hematology 검사 1.1.1.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WBC(백혈구)는 정상범위가 4.0-10.0 E9/L 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감염증, 출혈, 종양, 조직괴사 등의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등을 시사한다. RBC(적혈구)는 정상범위가 4.2-5.7 E9/L 이다. 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 중독, 폐섬유증 등을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백혈병, 출혈 등을 시사한다. Hb(...2024.09.13
-
가족간호2024.09.211. 서론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가족 중 한 명이 질병으로 아프거나 입원하게 되면 가족 구성원 중에서 누군가가 간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가족 중 한 사람이 희생하더라도 가족이 간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 가족구성원의 감소로 인한 핵가족화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보편화하면서 가족이 전적으로 간병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김소선(1992)은 뇌졸중 환자의 가족 대부분이 의료적 지식이 없고 환경 및 심리적 준비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발생한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 및 긴 입원기간, 회복가능성 때문에 ...2024.09.21
-
혈액검사 결과 분석 및 해석2024.09.191. 혈액검사의 종류와 의미 1.1. 일반혈액검사 1.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전혈 1㎣당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일반혈액검사(CBC)의 일부분으로 선별검사에 활용되며,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거나 백혈병, 자가면역질환, 알러지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정상 범위는 4,000~10,000/㎕이며, 이를 벗어나는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증가의 원인으로는 감염, 조직 파괴, 악성 종양, 혈액 질환, 대사 질환, 알러지, 약물 사용, 스트레스 등이 있다...2024.09.19
-
적혈구침강속도2024.11.051. 적혈구 침강 속도 1.1. 적혈구 침강 속도의 정의 적혈구 침강 속도는 "정해진 시간 동안 시험관 내에서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일정 시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시험관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렇게 시간당 이동한 적혈구의 침강 선까지의 거리를 적혈구 침강속도(ESR)라고 한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적혈구 침강에 작용하는 피브리노겐(fibrinogen)과 같은 인자와 침강에 반하는 적혈구 사이의 음전하(zeta potenti...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