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3개
-
항혈전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2024.09.101. 항혈전제의 이해 1.1. 혈액응고 기전 혈액응고 기전은 출혈이 발생하면 초기에 혈관이 수축하여 손상된 부위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임시로 막는 것으로 시작된다. 혈관벽이 손상되면 내피 밑층이 노출되고, 혈소판이 혈관의 아교질(collagen)에 부착한다. 혈관에 부착한 혈소판은 활성화되어 여러 물질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변의 혈소판을 결합하게 하여 혈소판 마개(platelet plug)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혈관 내피세포에 조직인자(TF,tissue factor)가 발현되면 혈액내의 Ⅶ인자와 급속히 결합하여 혈액응고 인자의 활...2024.09.10
-
혈액형 판정 실험 A2024.09.111. 혈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1.1. 서론 1.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체내를 순환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체액이다. 혈액은 크게 세포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며, 혈장에는 다양한 영양분, 호르몬, 면역물질 등이 용해되어 있다. 적혈구는 혈액 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장 많은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핵이 없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띤...2024.09.11
-
lab검사2024.09.181. 혈액 검사 개요 1.1. 일반 혈액 검사 1.1.1. 백혈구(WBC) 검사 백혈구(WBC) 검사는 혈액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백혈구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감염이나 외부 물질에 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서, 호중구, 림프구, 단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 다섯 종류로 나뉜다. 백혈구 검사는 감염, 염증, 면역 질환,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면 급성 감염, 홍역, 외상, 악성 종...2024.09.18
-
혈액응고장애 정의와 치료2024.09.131. 혈액 응고 과정 및 장애 1.1. 지혈 과정 지혈은 출혈이 멈추는 현상으로, 혈액 응고체계가 관여한다. 지혈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이 수축한다. 이를 통해 출혈을 줄여 초기 지혈을 도모한다. 둘째, 손상된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어 일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혈소판은 ADP와 TXA2를 분비하여 다른 혈소판의 부착을 촉진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출되어 트롬빈이 생성되고, 트롬빈은 섬유소원을 섬유소로 바꾸어 이차 지혈전을 형성한다. 넷째, 다양한 응고 및 항응고 인...2024.09.13
-
혈액·체액 정상범위 및 검사방법2024.09.131. 혈액검사의 임상적 의미 1.1. Hematology 검사 1.1.1.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WBC(백혈구)는 정상범위가 4.0-10.0 E9/L 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감염증, 출혈, 종양, 조직괴사 등의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등을 시사한다. RBC(적혈구)는 정상범위가 4.2-5.7 E9/L 이다. 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 중독, 폐섬유증 등을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백혈병, 출혈 등을 시사한다. Hb(...2024.09.13
-
가족간호2024.09.211. 서론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가족 중 한 명이 질병으로 아프거나 입원하게 되면 가족 구성원 중에서 누군가가 간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가족 중 한 사람이 희생하더라도 가족이 간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 가족구성원의 감소로 인한 핵가족화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보편화하면서 가족이 전적으로 간병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김소선(1992)은 뇌졸중 환자의 가족 대부분이 의료적 지식이 없고 환경 및 심리적 준비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발생한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 및 긴 입원기간, 회복가능성 때문에 ...2024.09.21
-
혈구 관찰2024.09.261. 혈액과 혈구 1.1. 혈액의 구성 1.1.1. 혈장 혈장은 혈액 구성성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액상 성분이다. 혈장은 전체 혈액량의 약 55%를 차지하며, 주성분은 물(90%)이다. 나머지 10%는 단백질, 지방, 당, 무기염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단백질(7-8%):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등 - 지질(0.5-1%): 콜레스테롤, 인지질, 중성지방 등 - 탄수화물(0.1%): 포도당, 과당 등 - 무기질(0.9%): 나트륨, 칼륨, 칼슘, 인, 철 등 - 기타: ...2024.09.26
-
혈구 관찰실험2024.09.261. 혈액의 이해 1.1. 혈액의 구성 혈액은 혈관 속을 흐르는 붉은 액상의 조직으로,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혈액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노리끼리한 액체로, 주성분은 물(92%)이며 단백질, 영양소, 노폐물 등이 녹아 있다. 혈장은 영양소, 노폐물, 이산화탄소 등을 운반하며 혈액 응고와 체온 조절에 관여한다. 혈구는 혈액의 나머지 50%를 차지하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적혈구는 수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백혈구는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2024.09.26
-
혈액검사정상수치2024.10.031. 혈액 검사 1.1. 일반 혈액 검사 (CBC) 1.1.1. 적혈구 (RBC) 적혈구(RBC)는 혈액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로, 혈액 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적혈구의 주된 기능은 체내 조직으로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적혈구 수치는 성인 남성의 경우 4,500,000 ~ 6,000,000/㎕, 여성의 경우 4,000,000 ~ 5,400,000/㎕ 범위 내에 있다. 적혈구 수가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2024.10.03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정리2024.10.011.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1. 혈액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는 혈액 내 다양한 혈구 성분들의 양적 및 질적 정보를 분석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혈액학 검사이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 구성 성분들의 수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감염, 빈혈,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들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된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노화되거나 파괴되면 비장, 간 등에서 제거된다. 적혈구 수(RBC cou...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