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CVA 간호2024.09.281. 뇌졸중의 이해 1.1. 구조 및 기능 뇌는 부위별로 각각의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를 혈관별 혈액 공급과 연관 지어 볼 경우 혈관 별 infraction이 생길 때의 증상을 유추해볼 수 있다.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 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₂와 젖산 등의 대사산물 제거하며 뇌의 자동 조절 기능으로 뇌 혈류를 분당 1,000cc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나 뇌 혈류 감소 시에 수분 내에 뇌 조직의 영구적 손상을 초래한다. 뇌로 올라가 영양분을 공급하는 상행동맥은 ...2024.09.28
-
심부정맥혈전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과 간호과정2024.11.0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의 구조에서 심방과 심실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크게 두 개의 심방(atrium)과 두 개의 심실(ventricle)로 구성된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이며,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한편, 좌심방(left atrium)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이고, 좌심실(left ventricle)은 좌심방으로부터 ...2024.11.07
-
트리거 포인트2024.10.021. 트리거 포인트 1.1. 트리거 포인트의 의미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는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통증유발점"이라고도 하며 압통점이라는 의미이다. 근육 내부에 존재하는 작고 과민한 부분으로, 이 부분을 압박하면 해당 부위뿐만 아니라 주변 근육이나 관절 등에도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단순한 압통점과는 구분되는데, 압통점은 압박했을 때만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트리거 포인트는 자발적인 통증이나 연관통을 동반한다. 트리거 포인트는 근육 내에 존재하는 긴장된 근섬유다발로, 이 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축...2024.10.02
-
심장초음파 일반촬영 두개부 요약2024.10.171. 심장의 해부생리 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 정도의 크기이며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은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경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심첨, 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한다. 박동 시 1회 70ml 정도의 ...2024.10.17
-
성인간호학문제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2024.11.171. 혈관계 구조와 기능 1.1. 대동맥, 동맥, 세동맥 대동맥은 체순환계의 핵심으로, 심장에서 나와 신체 전체로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혈관이다. 대동맥은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하행 대동맥으로 구분되며, 체내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동맥은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전신을 순환하는 혈관으로, 주요 동맥에는 총경동맥, 쇄골하동맥, 액와동맥, 대퇴동맥, 슬와동맥 등이 있다. 동맥은 혈액을 장기와 조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세동맥은 동맥이 점차 가늘어져 모세혈관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혈관으로, 체내 ...2024.11.17
-
혈류속도와미분2024.10.231. 수학 독서 사례 최종보고서 1.1. 도서 정보 도서 제목은 '미적분으로 바라본 하루'이며, 저자는 오스카 E. 페르난데스, 역자는 김수환, 출판사는 프리렉, 발행일은 2015년 1월 27일이다. 1.2. 동기 수학2 시간에 미분에 대해 배우기 전 미분이 쓰이는 사례에 대해 먼저 학습하였다. 그 수업시간 때 CD에 저장된 음악이 저장된 정보로부터 재생될 때 디지털 정보에서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되고 이 과정에서 정보의 결손이 생길 경우 주변 곡선으로부터 보정되는 데, 이 과정에서 미분이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이외에도...2024.10.23
-
혈류속도2024.10.28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총단면적은 혈관의 전체적인 단면적을 의미하며, 대동맥이나 대정맥과 같이 큰 혈관은 단면적이 크지만 혈관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총단면적은 크지 않다. 반면 모세혈관의 경우 단면적이 매우 작지만 무수히 많은 모세혈관이 연결되어 있어 총단면적이 가장 크다. 이렇게 혈관 크기별로 총단면적이 다른 이유는 혈액을 전신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진다. 즉, 총단면적이 큰 곳에서는 혈류 속도가 느리고, 총단면적이 작은 곳에서는 혈류...2024.10.28
-
문맥순환2024.12.11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 1.1.1. 체순환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좌심실을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지나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에 이르러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이 되어 정맥과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즉, 좌심실→ 대동맥→ 전신의 머리와 가슴 팔의 세동맥→ 위대.아래대정맥→ 우심방까지의 경로를 거치는 혈액순환이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시작된다.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대동맥을 거쳐 전신으로 흘러나간다. 대동맥은...2024.12.11
-
사레2024.10.111. 서론 1.1. 사례 선택의 이유 구획증후군은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질병이지만, 작년 성인간호학2 시간에 처음 배우게 되어 흥미가 생겼다. 특히 조직압이 높아져 관류가 저하된다는 특징이 신기했기 때문에 이 질병을 선정하게 되었다. 또한 v-sim에서 구획증후군 대상자를 시뮬레이션으로 치료해보며 다시 한번 관심이 생겨 이 질병을 선정하게 되었다. 1.2. 구획증후군에 대한 통계적 자료 급성 구획증후군을 일으키는 상태를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가장 첫 번째로 많은 원인이 전체의 36%를 차지한 경골 골절이다. 그 다음으로 23.2...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