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실제로 병리학2024.09.10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 병리학은 개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상태(증상, 징후, 구조적 이상, 기능적 이상 등)를 면밀히 관찰하여 질병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사명인 학문이다. 병리학의 어원인 그리스어 "pathos(질병)"와 "logos(학문 또는 과학)"를 합한 라틴어 "pathologia"는 정상범위를 벗어난 병적 상태의 생체구조 및 기능상 변화를 관찰하고 그 변화의 본질을 파악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병리학은 세포, 조직, 장기에 연관된 질병의 원인, 발병의발생론, 형태학적 변화, 기능적 변화, 임상적 의의에서...2024.09.10
-
면역 단계2024.11.271. 염증반응 단계 1.1. 혈관반응 혈관반응은 염증반응의 첫 단계로, 조직 손상 후 일시적으로 세로토닌에 의해 세동맥이 수축되어 조직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후 여러 화학물질들이 분비되면서 혈관이 확장되고 적혈구로 채워지게 되어 혈류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충혈, 열감, 발적,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혈관의 확장은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등의 화학물질에 의해 유발되며, 이들은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혈관 내 압력 증가로 혈관 투과성이 높아져 혈장 성분이 혈관 밖으로 빠...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