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8개
-
조절되지 않은 혈압2024.11.231. 고혈압 1.1. 고혈압의 정의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보내주는 '펌프' 역할을 하고, 혈관은 혈액을 운반하는 '파이프' 역할을 한다. 혈관은 심장에서 전신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과 전신에서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오는 (대)정맥, 그리고 소동맥과 소정맥을 연결하는 그물 모양의 모세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압이란 심장의 수축하는 운동과 혈관의 저항 양쪽 사이에서 생기는 것으로 혈관벽을 미는 힘(압력)을 의미한다. 즉, 혈압은 압력 펌프를 사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물을 보낼 때 필요한 수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1.2. ...2024.11.23
-
임신중독증 케이스2025.03.061. 서론 1.1. 대상자 선정이유 및 중요성 자간전증은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으로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이 고혈압이 발견되고 단백뇨가 동반되는 경우이다. 자간전증은 전 세계 임산부 사망원인 1위로 뽑힌다. 또한 매년 증가 추이에 있고, 모체와 태아에게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어 고위험 임신질환이다. 하지만 2017년까지 보았을 때 자간전증의 증상을 잘 모르는 산모들이 많아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전 세계 모성보건 단체가 5월 22일을 '세계 임신 중독의 날(World Pre-eclampsia Day')로 지정하였다. 이...2025.03.06
-
shoulder 수술2025.03.011. 어깨 해부 및 생리 1.1. 뼈와 관절 어깨의 뼈와 관절은 상완골, 견갑골, 쇄골 및 견봉으로 구성된다. 어깨 관절은 구조적인 관절 3가지와 기능적인 관절 1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적인 관절은 관절와 상완관절, 견봉쇄골관절, 흉골쇄골관절이며, 기능적인 관절은 견흉관절이다. 관절와 상완관절은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얕은 관절와에 위치하는 관절이다. 관절와는 상완골두에 비해 면적이나 깊이가 크지 않아 불안정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여러 인대, 연골, 근육 등이 관절 안정성을 유지한다. 관절연골은 관절면을 덮는 부드럽고 미끄러운 ...2025.03.01
-
해부생리학2025.01.301. 서론 1.1. 해부생리학의 정의와 중요성 해부생리학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고, 생리학은 그 구조의 기능과 역할을 다루는 학문이다. 해부생리학은 두 분야를 통합하여 생명체의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 건강한 삶 유지를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인체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통합하는 것은 의학, 간호학, 체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건강관리에도 해부생리학의 지식이 유용하게...2025.01.30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 문제2024.10.101. 인체 심혈관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서론 심장은 순환계통의 혈관을 통해서 혈액을 순환시키는 근육이다. 신장에서 내보내진 혈액은 폐로 이산화탄소와도 같은 대사폐물을 운반한다. 이와 함께 전신에 산소, 영양분을 몸에 공급하는 것이다. 심장은 온 몸에 혈액을 보내는 기관이기에 심장 자체도 많은 혈액이 필요하다. 이 심장에 혈액이 지나가는 혈관이 관상동맥인 것이다. 혈액은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액체이다. 다듬어져 있는 길을 다니면서 순환하는 관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혈액을 체취하여서 비커같은 곳에 넣어놓고 기다리면 빨간색의...2024.10.10
-
말초동맥 폐쇄질환 케이스스터디2024.10.131. 말초동맥폐쇄질환 1.1. 구조와 특성 동맥은 허파를 거쳐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을 좌심실로부터 온몸의 조직에 분포하는 모세혈관까지 전달하는 각종 혈관을 말한다. 동맥은 크기에 따라 대동맥, 동맥, 세동맥으로 구분된다. 좌심실과 연결된 대동맥으로부터 주요 동맥들이 분지되고, 다시 여러 번 분지를 반복하여 가느다란 굵기의 세동맥으로 분지한다. 이러한 동맥과 세동맥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전신으로 갈라져 모세혈관으로 이어진다. 동맥은 온몸의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고, 혈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거나 동맥의 가지가 상호간에 서로 ...2024.10.13
-
성인간호학문제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2024.11.171. 혈관계 구조와 기능 1.1. 대동맥, 동맥, 세동맥 대동맥은 체순환계의 핵심으로, 심장에서 나와 신체 전체로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혈관이다. 대동맥은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하행 대동맥으로 구분되며, 체내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동맥은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전신을 순환하는 혈관으로, 주요 동맥에는 총경동맥, 쇄골하동맥, 액와동맥, 대퇴동맥, 슬와동맥 등이 있다. 동맥은 혈액을 장기와 조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세동맥은 동맥이 점차 가늘어져 모세혈관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혈관으로, 체내 ...2024.11.17
-
심장초음파 일반촬영 두개부 요약2024.10.171. 심장의 해부생리 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 정도의 크기이며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은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경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심첨, 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한다. 박동 시 1회 70ml 정도의 ...2024.10.17
-
생리학 노트정리2024.12.011. 심장과 혈관계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 구조 심장은 전신순환계와 폐순환계를 포함하는 폐쇄순환계의 중심기관으로,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심실은 혈액을 높은 압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심장은 크게 네 개의 방(chamber)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상부 방이 심방이고, 두 개의 하부 방이 심실이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우심방과 우심실 사이)과 승모판막(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이 있다. 이 판막들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2024.12.01
-
인체구조와기능 문제2024.10.09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감각계통 1.1.1. 피부와 감각 피부는 인체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 바깥층의 기관으로, 신체 보호, 체온 조절, 감각 기능 등을 담당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각질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각질화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진피는 표피의 아래층에 위치하며, 혈관과 신경이 풍부하다. 진피에는 감각 수용기가 있어 피부감각을 담당한다....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