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렌즈와 광학장치2024.09.111. 렌즈와 광학장치 1.1. 실험 개요 이 실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렌즈의 특성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광학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먼저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성질 및 초점거리와 상의 형성 원리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슬라이드 프로젝터, 현미경, 망원경 등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구현해본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렌즈와 광학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렌즈의 기본 특성과 광학 원리를 익히고, 실제 응용 사례를 직접 실험해봄으로...2024.09.11
-
미생물학의 역사2024.09.101. 미생물학이란? 1.1. 미생물학의 범위 미생물학의 범위는 현미경으로 관찰이 필요한 작은 생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생물학의 분야이다. 미생물의 분류군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 원생동물, 조류가 포함되며,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생물로 취급하지 않지만 미생물학에서 다룬다. 미생물학은 면역학, 공중보건, 전염병학, 식품 및 유제품 미생물학, 생명공학, 유전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미생물 연구의 장점은 번식 속도가 빨라 많은 수로 배양할 수 있고, 단점은 크기가 작아 현미경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생물 연구 ...2024.09.10
-
광학현미경 사용법 이해 보고서2024.09.231. 현미경의 사용법 1.1. 실험 목표 이 실험의 목표는 생물학 실험에서 필수적인 현미경의 올바른 사용법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을 익히고 현미경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특히 실험이 완료된 후 학생들은 재물대미터(stage meter)의 사용법, 관찰된 상의 모양과 이동 방향, 배율과 해상력의 차이 등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1.2. 현미경의 기본 원리 1.2.1. 배율과 해상력 배율은 물체를 얼마나 확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대물렌즈의 배율과 대안렌즈(또는 접안렌즈)의 배율의 곱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24.09.23
-
건대 의생명2024.10.271. 현미경을 이용한 미토시스와 미오시스 관찰 1.1. 목적 현미경을 이용한 미토시스와 미오시스 관찰 실험의 목적은 현미경의 부품과 기능을 학습하고, 미토시스와 미오시스 각 단계의 특징을 관찰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을 익힘으로써 향후 생물학 실험에서 현미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토시스와 미오시스의 각 단계에서 관찰되는 세포 구조와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세포분열의 원리와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1.2. 재료 및 방법 1.2.1. 재료 현미경을 이용한 미토시스와 미오시스 관찰 실험에...2024.10.27
-
경북대 생명공학과 세포생물학 자료2024.10.171. 세포의 기초 1.1. 세포의 종류: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들은 세포의 크기, 핵의 유무, 세포소기관의 존재 여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원핵세포는 핵을 가지고 있지 않아 핵막이 없고 유전물질인 DNA가 세포질 내에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핵과 세포질이 구별되지 않고 단일한 세포 공간을 가진다. 세포막과 세포벽이 있으며, 세포벽은 주로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된다. 크기는 1-10 μm 정도로 작은 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박테리아와 고세균 등이 있다. 반면 진핵세포는 ...2024.10.17
-
건국대 의생명공학과2024.10.191. 바이러스와의 전쟁 1.1. 스페인 독감에 대한 고찰 1.1.1. 스페인 독감의 이름 유래 스페인 독감이 유행했던 1918년 당시에는 1차 세계대전 중이었다. 참전국들은 국민들에게 이 사실을 숨기기 위해 노력했는데, 유일하게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스페인만이 이 사실을 언론을 통해 보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독감은 "스페인 독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당시 스페인에서는 800만 명이 독감에 걸렸는데, 여기에는 당시 국왕 역시 포함되었다. 즉 신분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유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024.10.19
-
임상미생물학 실험레포트2024.10.011. 미생물의 형태와 염색 1.1. 실험 소개 미생물학 실험에 필요한 세균의 염색법과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법들의 특징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접 세균 표본을 만들고 현미경의 초점을 조절해보는 과정에서 총 세 가지 실습이 이루어진다. 첫번째로 wet mount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단순 관찰해본다. 두번째로 그람염색법(gram staining)을 이해한 후 각 세균을 염색해보고 차이점을 관찰해본다. 세번째로 유침법(oil-immersion)의 원리를 이해한 후 그람염색된 세균을 관찰해본다. 1.2. 실험 원리 1.2.1...2024.10.01
-
생물다양성, 하천2024.09.30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과학동아리에서 하천에 대한 강연을 듣다가 우리 지역 하천에는 어떤 생물이 사는지 생태계가 궁금해져서 연구 활동을 진행하게 되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주변을 발전시키며 살아가기 때문에 우리 주변의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생태계와 관련하여 종 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은 지구적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생태계에서 생물들이 서식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라고 배웠다. 생태환경은 지역별로 가지고 있는 '종 다양성'과'생태계 다양성'으로 인해 그 지역의 개체들이 서로 다른 생물 특성을 보이고 다양한 종이 살고 ...2024.09.30
-
현미경 사용법2024.09.221. 현미경의 종류 1.1. 광학 현미경 1.1.1. 명시야 현미경 명시야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살아 있거나 보존되어 염색된 시료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다용도 현미경이다. 명시야 현미경에서는 시료가 어둡고 배경은 밝은 상태로 관찰되며, 세포 구조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는 시료에 빛이 통과할 때 시료 자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생성된 대비가 관찰되기 때문이다. 명시야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의 한 종류로,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시료를 관찰한다. 이 현미경에서는 시료에 투과된 빛이 렌즈를 거쳐 관찰자의 눈에 도...2024.09.22
-
주혈편모충2024.10.071. 기생충 검사 방법 1.1. 현미경 사용법 현미경은 기생충 검사 시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현미경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미경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회전 대물부에는 서로 다른 성능의 여러 대물 렌즈가 고정되어 있어 관찰 도중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재물대 클립은 깔유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물 렌즈는 관측 대상물에서 나오는 빛을 포착하여 그 빛을 수렴함으로써 상을 반전된 상태로 확대시켜 맺히게 한다. 집광기는 보통 2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광학 시스템으로 램프가 내보내는 빛을 관찰 대상물에 ...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