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전통장단 비교연구2024.09.111. 한국 전통음악의 장단과 고법 1.1. 판소리 고법 1.1.1. 고수의 역할 고수는 판소리에서 소리꾼의 노래를 반주하며 장단을 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수는 보통 소리꾼의 왼쪽에 앉아 소리꾼을 바라보며 북을 친다. 고수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주요 요소는 자세, 추임새, 가락이다. 자세란 허리를 바로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시선을 소리꾼에게 맞추어야 하며, 소리를 방해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추임새는 소리 도중에 "잘한다", "좋다" 하는 식으로 이어지는 감탄사로, 판소리가 긴 호흡의 공연예술이기...2024.09.11
-
영화음악, 한스짐머 노래2024.09.221. 서론 현대음악은 크게 1890년, 즉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약 30년간의 음악인 근대음악와 제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세계적으로 형성된 음악인 현대 음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음악은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양식에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드뷔시를 시초로 인상주의 음악이 나타났고, 음악의 색채감을 중시하여 모호한 조성 내지는 무조성 음악이 발전하였다. 독일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쇤베르크를 중심으로 표현주의 음악이 발전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2024.09.22
-
실내악의 역사2024.10.071. 음악의 역사 1.1. 르네상스 1.1.1. 르네상스란? 르네상스는 15~16세기 유럽 사회의 인본주의적 문예부흥기를 의미한다. 이태리를 중심으로 시작된 시민운동으로, 중세시대의 종교적 권위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메디치 가문과 같은 명문가는 미술가와 학자들을 후원하여 학예를 장려하였으며, 대표적인 르네상스 예술가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와 함께 음악에서도 새로운 양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1.1.2. 르네상스의 음악적 특징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