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윤리적 딜레마-수혈 거부2024.09.241. 종교적 신념과 관련된 수혈 거부 1.1. 종교적 신념과 관련된 수혈 거부 사례 2007년 여호와의 증인 신도인 A씨(여, 당시 62세)는 인공고관절 수술을 받기 위해 무수혈 방식 시술이 가능한지 조선대병원에 문의했고, 조선대병원 정형외과 의사이던 이씨는 A씨에 대한 검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무수혈 방식에 의한 수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2007년 12월 수술을 진행했으나 A씨는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이에 의사 이 씨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종교적 신념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위급한 상황에...2024.09.24
-
적십자혈액원2024.09.261. 대한적십자사 개요 1.1. 설립 배경 및 연혁 대한적십자사는 1903년 1월 8일, 대한제국 정부가 최초의 제네바 협약에 가입하면서 처음 설립되었다. 초기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대한제국 황족인 의양군 이재각과 의친왕 이강 등이 맡았다. 그러나 1909년 7월 23일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었고, 한일병합 1년 전인 1909년 7월 23일 일본은 소위 칙령이라는 미명하에 대한적십자사를 강제로 폐지하고 일본적십자사 조선본부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1919년 4월 중국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1919년...2024.09.26
-
헌혈 증진 방안2024.10.161. 혈액관리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혈액관리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수혈자와 헌혈자(獻血者)를 보호하고 혈액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혈액"이란 인체에서 채혈(採血)한 혈구(血球) 및 혈장(血漿)을 말한다. "헌혈자"란 자기의 혈액을 혈액원에 무상(無償)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혈액원"이란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6조제3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혈액관리업무"란 수혈(輸血)이나 혈액제제(...2024.10.16
-
수혈2024.09.29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blood transfusion)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 요법은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ABO 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들어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 전파의 우려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1....2024.09.29
-
혈액원2024.08.221. 서론 1.1. 혈액원 간호사의 중요성 혈액원 간호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혈액원 간호사는 혈액 수급 사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혈액원 간호사는 헌혈자의 최초 대면자로서 채혈 업무부터 채혈한 혈액이 병원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헌혈자의 건강상태 확인, 채혈 과정 관리, 채혈된 혈액의 관리 등 혈액 수급과 관련된 핵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혈액원 간호사는 예약헌혈 등록 및 관리, 조혈모세포 기증자 모집 등의 업무를 통해 지속적인 헌혈자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