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저나2024.10.011. 항생제 개요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제는 미생물이 자신의 성장을 위해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항생물질이란 '생명활동을 방해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미생물이 만들어낸 이러한 물질은 다른 미생물의 발육과 증식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항생제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의약품으로, 과거부터 인간의 질병 치료에 큰 기여를 해왔다. 1.2. 항생제의 분류 항생제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미노 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박테리아의 단백질 ...2024.10.01
-
항생제 내성 세균2024.10.281. 세균과 항생제 1.1. 항생제의 작용 원리 1.1.1.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세균의 세포벽은 삼투압에 의한 세포의 파괴를 방지하고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구조이다. 세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이라는 거대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N-아세틸 글루코사민과 N-아세틸 뮤라민산이 교대로 배열되며 펩타이드 사슬이 가로질러 이어져 있는 구조이다. 항생제 중 베타락탐계 항생제인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은 이러한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2024.10.28
-
항생제 내성 관련 실험2024.09.021. 항생제의 이해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제란 "미생물이 생산하였지만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이라고 정의된다. 초기에는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생성해낸 물질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반합성 물질이나 합성 물질도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항생제는 세균이 사람의 세포와 다른 부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데, 세균의 어느 부분을 저해하는가는 항생제마다 다르다. 항생제는 미생물의 생장과 번식을 억제하거나 죽임으로써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다. 1.2. 항생제의 ...2024.09.02
-
항생제2024.08.271. 항생제 개요 1.1. 항생제 정의 항생제란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확장을 막기위한 목적으로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이다. 이러한 항생제는 인체세포에 긍정적인 작용기전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오남용을 할 경우 오히려 인체세포에도 해로울 수 있다. 항생제는 페니실린 계열, 마크로라이드계열, 설폰아마이드 계열, 퀴놀론계열, 세팔로스포린 계열 등으로 분류된다." 1.2. 항생제 종류 항생제는 크게 베타락탐계, 테트라사이클린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마크로라이드계, 링코마이신계, 글리코펩티드계, 퀴놀론계 등으로 분류된다. 베타락탐계...2024.08.27
-
항히스타민제 호흡기2024.09.071. 호흡기 질환 치료제 1.1. 항감염증약 1.1.1. 세포벽 합성 저해 세포벽 합성 저해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이다. 이러한 세포벽 합성 저해 항생제에는 페니실린계 항생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카바페넴계 항생제, 글리코펩티드계 항생제 등이 해당된다.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베타락탐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의 생합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증식 중인 세균에 대해 살균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대표적인 페니실린계 항생제로는 amoxicilli...2024.09.07
-
항생제 감수성 실험2024.08.281. 항생제 감수성 실험 1.1. 실험 목적 항생제 감수성 실험의 목적은 항생제의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여 미생물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생제가 세균에 대하여 작용하기 위해서는 세균 내에 항균제의 표적 분자가 있고, 적절한 농도의 항생제가 세균의 표적이 되는 부위로 침투가 가능하여야 하며, 항생제가 표적 분자와 만나 상호작용을 통해 항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항생제가 세균의 세포 내 혹은 세포 외의 효소에 의해 불활성화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이번 실험을 ...2024.08.28
-
항생제 감수성 검사 streaking2024.08.281. 항생제의 이해 1.1. 항생제의 정의와 작용 기작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항생제의 작용 기작은 다음과 같이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첫째, 세균 세포벽 합성 저해이다. 세균은 인체 세포에 없는 구조인 세포벽에 둘러싸여 있는데,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주로 증식 중인 세균에 대해 작용한다. 둘째, 세균 세포막 기능 저해이다. 항생제가 세포막의 투과...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