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포신길이2024.09.131. 서론 1.1.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은 현재 한반도와 국제사회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안보 문제이다. 북한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파괴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핵과 미사일이란 무기를 앞세워 자신들의 정권과 체제의 안정을 보장받고자 하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로부터 각종 제재로 압박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핵무기와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을 지속해왔다. 특히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더 많은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통해 핵 및 미사일 능력의 고도화를 추진해왔다. 북한...2024.09.13
-
북한 외교전략 및 제3세계 대상 관계 분석2024.10.031. 북한 외교정책의 특성 1.1. 기본이념과 실천방향의 괴리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이념인 자주, 평화, 친선은 김정은 시대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 외교정책의 실천 방향은 이와 달리 실리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1980년대 말 소련의 해체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으로 북한 경제는 위기에 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의 변화로 인해 북한의 외교정책은 체제 안정과 경제문제 해결에 주안점을 두고 실리외교를 추진하였다. 북한 실리외교의 핵심은 서방 세계와의 관계 개선 및 외교 다변화이다. 특히 북한의 당면과제였던 대북경제제재...2024.10.03
-
LIG 넥스원2024.10.211. 국내 방위산업 현황과 과제 1.1. 방위산업의 현대화 1.1.1. 선진국의 첨단무기 개발 동향 선진국들은 첨단 무기체계 개발을 통해 군 현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국가무장계획 2020에 따라 첨단전투기, 전차, 장갑차, 핵잠수함 등을 대부분 전력화했다. 미국 또한 '18년 육군 현대화를 위해 차세대 전투차량, 미래형 헬기, 장거리 화력 체계 등 8개 분야에 5년간 3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이러한 계획이 실행되면 '23년 기준으로 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 등 무기체계를 현대화할 계획이다. 1....2024.10.21
-
원폭투하로 인한 일본인의 반응2024.10.081. 원폭 피해와 원자력의 위험성 1.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의 역사와 피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실전에 사용된 핵무기였다. 1938년 독일의 과학자 오토 한이 핵분열 현상을 발견한 이래, 미국은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맨해튼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원폭 개발에 성공했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우라늄 폭탄 "리틀 보이"가 투하되었고, 사흘 뒤인 8월 9일 나가사키에 플루토늄 폭탄 "팻 맨"이 투하되었다. 히로시마 원폭 투하 시, 순간적으로 지표 아래 500미터 반경의 모든 ...2024.10.08
-
히로시마 나가사키2024.10.081. 원폭의 비극과 그 영향 1.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와 그 피해 1.1.1. 히로시마 원폭 투하 1938년, 독일의 과학자였던 오토 한은 핵분열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핵분열이란, 원자핵이 중성자를 받으면 두 원소로 갈라지는 것을 말하는데, 우라늄은 이를 통해 바륨과 크립톤으로 분열하고 질량의 일부는 빛과 에너지로 변환되었다. 이에 독일의 독재자 히틀러는 이를 이용해서 원자폭탄을 만들고자 하기도 했으나 일부 핵심적인 독일 과학자들이 유태인이어서 해외로 망명해버리는 등의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있었다. 그...2024.10.08
-
미사일 엔진2024.08.291. 북한의 군사적 위협: 핵과 미사일 1.1. 대량살상무기의 이론적 고찰 1.1.1. 정의 대량살상무기란 핵무기, 화학무기, 생물무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기의 종류가 계속해서 발전되어 왔는데, 특히 수많은 사람의 살상을 가능하게 하는 핵무기와 화생무기를 대량살상무기라고 지칭한다. 이 때 핵무기를 방사능 무기로 포함하여 "화생방무기"라고도 한다. 현재 국제사회에서는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사용을 금지시키고자 다양한 국제협약을 통해 노력하고 있으나,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미 무기들을 보유하고 있...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