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이산수학2024.09.161. 수학적 귀납법 1.1.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는 자연수 n에 대한 명제 p(n)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p(n)이 참임을 보이는 방법이다"" 첫째, p(1)이 참이다"" 둘째,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하여 p(k)가 참이면 p(k+1)도 참이다"" 즉, 자연수 n=1에 대한 명제 p(1)이 참이고,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해 명제 p(k)가 참이면 명제 p(k+1)도 참이라는 두 조건이 성립할 때,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 p(n)이 참이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2024.09.16
-
보안위협 형태 및 암호화 기법 조사2024.10.041. 서론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운영체제는 다양한 시스템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기업, 정부,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운영체제에 저장되는 정보가 점점 민감해지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 안에 공인인증서와 같은 개인정보는 물론 다양한 앱 사용을 통해 입력된 민감한 정보들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인터넷의 보편화 이후 보안 위협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보안 위협은 주로 악성코드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메...2024.10.04
-
운영체제 보안위협 형태와 암호화 기법2024.10.041. 서론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정보와 데이터의 가치는 전례 없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는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암호화는 정보를 외부의 접근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로, 비밀번호, 은행 거래, 개인 메시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에 사용된다. 그러나, 암호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암호를 무력화하거나 깨트리려는 다양한 보안위협 또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협은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 공격하거나,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복잡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정보 보호의 중요성...2024.10.04
-
함수를 이용한 암호2024.11.231. 암호학 해시함수와 암호시스템 1.1. 해시함수란? 해시함수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해시 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또는 간단하게 해시라고 한다. 암호학적 해시 함수는 현대 암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무결성, 메시지 인증 등에 사용되고 있다. 비 암호학적 컴퓨터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해시 함수와 비교할 때 두 경우 모두 큰 정의역에서 작은 치역으로의 함수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 메시지를 입력하여 고...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