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0개
-
신체 계통별 용어정리2024.08.311. 심혈관계 1.1.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 심혈관계의 구조는 심장, 혈관, 동맥, 정맥, 모세혈관, 혈액으로 구성된다. 심장(Heart)은 주기적인 수축에 의하여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순환계의 중심적인 근육기관이다. 가슴 안의 중앙보다 왼쪽에 있고, 주먹보다 약간 큰 근육질 덩어리로 원뿔모양의 주머니 같다.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고 동맥으로 내보낸다. 혈관(blood vessel)은 혈액이 흐르는 관으로 혈액을 온몸으로 운송한다. 동맥, 정맥, 모세혈관 세 종류가 있다. 동맥(Artery)은 심장으로부터 온몸에 혈액을 운반하...2024.08.31
-
호흡,심장혈관,소화 계통 용어정리2024.08.311. 심혈관계 1.1.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 1.1.1. 해부학적 용어 심혈관계의 해부학적 용어로는 "심장막(pericardium)", "심근(myocardium)", "우심방(right atrium)", "좌심방(left atrium)", "우심실(right ventricle)", "좌심실(left ventricle)", "방실판막(cuspid valve)", "관상동맥(coronary artery)", "대동맥(aorta)", "대정맥(cava)" 등이 있다. 심장막(pericardium)은 심장과 심장을 드나드는 큰 혈관...2024.08.31
-
구강해부학2024.08.221. 서론 1.1. 구강 해부학 및 구조 구강은 입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소화기계의 시작 부분이다. 구강은 크게 치아, 혀, 침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구강 내 치아는 총 28개로,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14개씩 배치되어 있다. 치아는 음식물을 씹는 기계적 소화 작용을 담당한다. 특히 제3대구치인 사랑니는 부분적으로 맹출되어 있어 치은조직과 교통하며 음식물이 축적되기 쉬워 감염의 위험이 높다. 혀는 구강저를 형성하며 미뢰를 포함한 유두들이 있어 미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2024.08.22
-
소화기계통의학용어2024.08.221. 의학용어의 이해 1.1. 의학용어 학습의 중요성 의학용어 학습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한 의학용어의 사용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의학용어는 질병, 검사, 치료법 등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기록하는 데 사용되며, 의료진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의학 분야에서 정확한 표현은 생명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의학용어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의학용어는 전문적인 어휘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인들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의학...2024.08.22
-
상악 제1대구치의 이해2024.09.081. 구강 해부학 1.1. 구강 구강은 상·하악의 alveolar process(치조돌기)와 teeth(치아)에 의해 2부위로 구분된다. 구강은 크게 구강전정(oral vestibule)과 구강고유강(oral cavity proper)으로 나뉜다. 구강전정은 상·하악 치아와 위·아래입술 및 뺨 사이의 좁은 공간이며, 구강고유강은 위로는 입천장, 밑으로는 혀 및 혀밑부위, 후방은 목구멍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구강전정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은 발음, 저작, 연하 등의 구강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구강전정의 공간...2024.09.08
-
성인간호학 위장관장애 대상자 간호,염증과 면역반응,구강과식도장애,위장장애, 소장과대장장애,간경화 간암 간이식,간,담낭,췌장 구조와 기능,영양장애2024.12.06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와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로 구성되어 있다.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그리고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이하선, 악하선이 있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한 작은 돌기인 유두가 있다. 정상적으로 침샘에는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 등에 반응하여 타액이 분비된다. 타액은 신경의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에 의해 분비되며, 타액반사의 중추는 연수에 있다.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녹이므로 타액이 감소하거나 ...2024.12.06
-
간호학과 해부학 문제2024.10.161. 연구의 필요성 비판적 사고성향은 개인적 또는 전문적 업무에 있어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하려는 목적 하에 스스로 판단하는 사고를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사용하려는 개인적인 동기, 바람, 태도, 성향과 습관을 말한다. 특히 임상실습전단계에 학습하게 되는 기초간호학은 대상자의 병태 생리적 변화와 치료의 방향을 알고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정확한 지식에 간호의 임상적용에 필수적인 교과목이다. 의료기술의 발전, 대상자들의 요구 증가, 재원일수의 단축, 인구의 노령화, 질병의 복잡한 변화와 중증환자의 증가 등으로 건강관리체계기 점점 복잡...2024.10.16
-
근육계통2024.09.061. 뼈대계통 1.1. 뼈의 구조와 기능 뼈는 인체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주요 구조물로, 그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뼈는 크게 해면골과 치밀골로 구성되어 있다. 해면골은 내부에 작고 불규칙한 공간들이 망상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공간들은 골수로 채워져 있다. 치밀골은 골수강을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외각골층으로, 치밀골에는 작은 구멍들이 있어 혈관과 신경이 지나간다. 뼈는 구조적 지지와 보호의 기능을 수행하며, 근육 부착을 위한 부착점을 제공한다. 또한 뼈는 골수에서 적혈구와 백혈구 생성을 담당하는 조혈 기능이 있다. ...2024.09.06
-
해부생리학 정리2024.12.0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해부학과 생리학의 영역 1.1.1. 해부학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육안해부학은 인체의 외관을 직접 관찰하거나 해부를 통해 인체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포조직학은 세포와 조직의 현미경적 구조를 연구하며, 조직병리학은 질병으로 인한 조직의 병리적 변화를 관찰한다. 표면해부학은 피부 표면의 구조를 관찰하여 신체검진에 활용하고, 계통해부학은 개별 기관계를 연구하며, 국소해부학은 특정 영역의 다양한 기관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임상적으로는 촉진, 청진, 타진 등의 신체검...2024.12.01
-
인체구조와 기능2 확인하기2024.12.221. 해부학과 생리학의 이해 1.1. 해부학의 개요 1.1.1. 육안해부학 육안해부학은 인체해부학 중에서 육안으로 표면을 관찰하고 절개를 통해 구조를 확인하는 학문이다. 육안해부학은 인체 내부의 구조와 형태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해부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해준다. 육안해부학에서는 주요 장기와 신체 구조물의 위치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 심장, 폐, 간, 위, 소장, 신장, 생식기관 등의 위치와 겉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혈관, 근육, 뼈, 관절 등의 구조와 배열도 확인할 수 있다. 육안해부...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