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선진들의 신학연구 방법론2024.09.18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해방신학 1.1. 서론 해방신학이 종속당한 지식의 부활이라 함은 해방신학의 담론이 어떤 지배적 신학과 문학에 의해 억압당해 온 지식들의 부활을 표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방신학은 종속당한 '주변부'의 피억압자들의 소리, 즉 로메로와 프란츠 파농이 일컬었던 바 '소리없는 자들의 소리',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의 소리, 다시 말하면 해방신학의 선구자인 구티에레스가 일컬었던 '비인간들'의 소리에 관심을 기울일 뿐 아니라, 그들을 억압의 구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실천적 신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방신학...2024.09.18
-
성서 속에 나타난 빈곤2024.11.071. 기독교사회복지론 1.1. 빈곤의 개념 및 의의 1.1.1. 경제적 빈곤 경제적 빈곤은 "일정한 생활수준 이하의 삶을 살아가는 상태"를 의미한다. 경제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과 주관적 빈곤으로 구분된다. 객관적 빈곤은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으로 나뉜다. 절대적 빈곤은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 욕구(특히 음식)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대적 빈곤은 다른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가지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주관적 빈곤은 객관적 기준이 없이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근거해 정의되는 빈곤을 말한다. 즉, 자신의 삶...2024.11.07
-
교회신부아버지 인사말2024.10.031. 결혼식 및 신혼여행 1.1. 결혼식 1.1.1. 전통혼례 전통혼례는 의혼, 납채, 납폐, 친영 등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의혼은 신랑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어 상대방의 인물, 학식, 인품, 형제 등을 조사하고 혼인 당사자의 궁합을 본 후, 두 집안이 합의가 되면 허혼하는 것이다. 중매인이 양가의 정보와 의견을 조정하였으며, 궁합은 사주를 오행에 맞추어 길흉을 점쳐 보는 것이다. 혼인이 결정되면, 신랑집에서 신랑의 사주를 써서 신부집에게 보내고 신부집에서는 혼인 날짜를 잡아 신랑집에 보낸다. 납채는 혼인이 ...2024.10.03
-
해방신학2024.10.231.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 개관 1.1. 기원과 특징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기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독자적인 색깔에 이바지하는 첫 번째 요소는 대중적 빈곤이라는 구체적인 정황 속에 있는 해방신학의 상황(context)이다. 이 상황은 빈곤, 기아, 그리고 압제와 같은 말로 암시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라틴 아메리카의 '현대'역사로부터, 곧 '신세계의 발견'이래로 압제와 식민지화에 의해 특정 지어졌던 역사로부터 비롯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정복자들을 위해, 노예를 만들기 위해 그리고 '...2024.10.23
-
해방 신학2024.10.231. 서론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현대 역사의 희생자가 되었던 사람들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의 행위와 하나님의 변혁의 은혜에 대한 성찰이다. 라틴 아메리카 해방신학은 하나의 해석으로 기독교가 가난한 자들 가운데서 어떻게 실천되는가에 관한 이의제기이자, 하나의 항거이다. 이 해방신학은 역사 내의 가난한 자들 가운데 나타나신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 한다. 해방신학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뿐만 아니라 역사의 새로운 주체가 될 자유를 수반하는 해방을 이야기한다. 해방신학과 해방신학이 고찰하고 있는 신앙은 역사를 통하여 부요한 자와 가난한 자, ...2024.10.23
-
여성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흑인신학2024.10.241. 여성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1.1. 현대 신학과 여성신학 여성신학은 현대 신학의 흐름 가운데서 등장하였을 뿐 아니라 현대 신학의 주요한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계몽주의 이후 현대 사회의 정신적 풍토를 배경으로 등장한 페미니즘이 그러했듯이, 여성신학도 계몽주의 이후 등장한 현대 신학의 공통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현대 신학은 더 이상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객관적 권위를 근거로 자신의 주장을 펼칠 수 없게 되었다. 대신 현대 신학은 인간의 경험을 중요시하고, 인간의 경험을 토대로 신학을 전개하려고 한다. 신학은 더 이상 객관적으...2024.10.24
-
사회복음을 위한 신학2024.11.211. 사회복음을 위한 신학 1.1. 사회복음의 도전 사회복음은 기존의 개인주의적 신학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다. 개인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던 전통적인 신학에서 벗어나 사회적 문제와 구조적 죄악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는 "모든 인간관계를 새롭게 바꾸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화해시킴으로써 인간 사회를 하나님의 나라로 변혁시키는 것"이 기독교인의 본질적 과업이라고 주장한다." 사회복음은 개인의 영혼뿐 아니라 전체 사회 공동체 자체의 사회구조들까지 회개하고 구원받도록 새로운 부흥운동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주요산업의 사회주의화,...2024.11.21
-
목회적 돌봄의 실제2024.11.071. 목회적 돌봄의 개념과 역사 1.1. 목회적 돌봄의 정의 목회적 돌봄의 정의는 라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목회적 돌봄은 그 활동의 본질, 관여하는 대리인, 수행하는 방식, 추구하는 목표, 그리고 동기 등 총 5가지 필수적인 요소로 구성된다. 목회적 돌봄자들은 사람들의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뿐만 아니라 그 내면에 깊이 묻혀있는 것에도 관심을 가진다. 또한 목회적 돌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삶의 초월적인 차원을 인정할 수 있다.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목회적 돌봄은 의사소통의 형식들이 돌봄의 상호작용을 위해 가치 있는지 확인하는 것에 ...2024.11.07
-
희망의 신학 몰트만 분석2025.01.131. 들어가는 말 1.1. 희망의 신학 몰트만 개관 몰트만은 『희망의 신학』에서 종말론을 "마지막 것"에 관한 교리로 정의하지 않고,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이해한다. 그는 종말론이 단순히 부활한 주의 재림에 대한 소망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미래를 말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헬라인들에게 '파루시아'는 하나님의 현존에 대한 총괄개념이었지만, 신약성서에서 그리스도의 파루시아는 오직 기대의 범주 안에서만 이해된다. 몰트만은 신앙과 희망의 관계에 대해 "신앙은 희망을 세우는 기초이고, 희망은 신앙을 키우고 지원한다."고 말한다. ...2025.01.13
-
희망의 신학 몰트만 분석2025.01.131. 서론 1.1.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 개요 몰트만은 『희망의 신학』에서 종말론을 '마지막 것'에 관한 교리가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이해한다. 종말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소망뿐만 아니라 그의 미래 전체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파루시아(재림)는 오직 기대와 희망의 범주 안에서만 이해된다. 몰트만은 신앙과 희망의 관계에 대해 "신앙은 희망을 세우는 기초이고, 희망은 신앙을 키우고 지원한다."라고 설명한다. 신앙이 없다면 희망은 유토피아적이 되고, 희망이 없다면 신앙은 약해지며 결국 죽게 된다. 몰트만은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