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
-
약물중독 간호과정2024.10.051. 서론 1.1. 약물 중독의 현황 수년 동안 독성 응급의 발생은 그 빈도와 중증도에서 증가되어 왔다. 미국 중독통제센터협회는 매년 약 4백만 명 이상의 중독이 발생한다고 추산한다. 모든 응급실 방문자와 응급의료 출동의 10% 정도는 독성 노출과 관련이 있다. 사고로 인한 중독의 70% 정도는 6세 이하의 소아에게 발생한다. 사고로 음독을 경험한 소아는 1년 내에 다른 유사한 음독의 위험이 25% 정도 존재한다. 모든 자살 시도의 80%는 약물과량 투여를 택한다. 모든 중독의 절반 이상이 1~5세의 소아에게 일어나지만 일반적으로...2024.10.05
-
약물중독 케이스2024.11.051. 약물 중독 1.1. 정의 및 개요 약물 중독은 고의나 사고로 어떤 물질을 섭취하거나 흡입, 흡수, 피부에 도포될 때 신체에서 화학작용을 일으켜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학령기 이전의 소아에서는 치료적 약물이 아닌 가정 내 물질(비누, 화장품 등)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Nontoxic exposure or ingestion)'이 가장 흔하며,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 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2024.11.05
-
유기화합물 간호과정2024.10.091. 유기화합물 약물중독 1.1. 정의 및 원인 중독(poisoning)이란 해로운 물질이 신체에 들어가 영구적 손상이나 일시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약물과용은 약물의 복용량이 지나칠 때 독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화합물의 작용기전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않고 신경세포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작용을 하게 만들어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신경이 지속적인 흥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유기인계 화합물은 중추신경계, 무스린계, 니코틴계의 신경에 작용한...2024.10.09
-
약물해독제2024.11.201. 약물 중독 1.1. 약물중독의 정의 및 원인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의 약물중독은 고의든 실수이든 의인성으로 발생하며, 특히 성인에서는 고의적인 약물 남용으로 인한 중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 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모든 약물은 처방된 양...2024.11.20
-
약물중독문헌고찰2024.11.201. 서론 1.1. 약물 중독의 개념과 정의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치료적 효과 외의 인체에 유해한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약물은 의도된 치료 효과 외에도 부작용(Side effect), 유해반응(Adverse effect), 독성효과(Toxic effect) 등 다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중독(Intoxication)은 약물이 치료 범위를 초과하여 신체 내에 과도하게 존재하면서 다양한 유해 작용과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가벼운 오심, ...2024.11.20
-
Drug intoxication2024.08.291. 약물중독 개요 1.1. 약물중독의 정의 약물중독은 해로운 물질이 신체에 들어가 영구적 손상이나 일시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반면 약물과용은 약물의 복용량이 지나칠 때 독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약물중독은 해로운 물질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이고, 약물과용은 약물 복용량이 적절하지 않아 독성이 나타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1.2. 약물중독의 원인 및 증상 약물중독의 원인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약물중독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의도적인 약물 오남용이다. 우울증, 불안 등 정...2024.08.29
-
체액불균형의 위험2024.08.271. 약물 과량 복용 1.1. 서론 응급실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DI(drug intoxication)이다.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동안 하루에 한 명 꼴로 볼 수 있을 만큼 흔한 경우가 많았다. 환자들이 다량의 약물을 먹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 자살 시도였다. 이러한 환자들이 응급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례인 만큼 약물과량복용 환자에 대해 조사하고 고찰한 후 어떻게 간호를 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한다. 1.2. 문헌고찰 1.2.1. 약물 중독의 정의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2024.08.27
-
응급약물정리2025.01.211. 응급약물 개요 1.1. 응급카트 구성약물 응급카트에는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응급카트에 포함되는 주요 약물로는 Dobutamine, Tropin, Aminophylline, Sodiumbicarbonate, Nitroglycerine 등이 있다. Dobutamine은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의 단기 치료에 사용되며, 혈압이 높은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Tropin은 심경색, 외상, 패혈증 등으로 인한 쇼크 및 심박출량 감소에 사용되며, 고농...2025.01.21
-
마취 약물2024.09.031. 마취과 약물 개요 1.1. 마취 약물의 종류 마취 약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전신마취제, 근이완제, 진통제, 항구토제, 수면진정제 등 다양한 계열의 약물들이 마취 과정에 사용된다. 전신마취제에는 흡입마취제와 정맥마취제가 있다. 흡입마취제에는 Sevoflurane, Desflurane, N2O 등이 있으며, 정맥마취제에는 Thiopental sodium, Etomidate, Propofol, Alfentanil, Fentanyl, Methadone 등이 있다. 근이완제에는 탈분극성 근이완제인 Succinylcholi...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