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개
-
급성 뇌경색 간호과정2024.09.201. 서론 2022년 10월 28일 오후 1시 40분경 도보로 응급실을 방문한 조OO(M/77세)의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OO 님은 아침에 일어난 직후 왼쪽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여 응급실에 내원하였고, 급성 뇌경색 진단을 받았다. 조OO 님은 현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으며, 2002년 뇌졸중으로 입원한 이력이 있어 뇌경색의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번 입원을 계기로 급성 뇌경색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령, 기저질환 등이 동반되어 있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므로 ...2024.09.20
-
뇌경색2024.09.251. 뇌경색 정의 1.1. 뇌경색의 개념 뇌경색은 환자의 뇌 조직이 괴사하여 융해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환자의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게 된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혈류의 감소로 산소공급이 감소되면 신경세포는 호기성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고 혐기성 호흡을 하게 되어 충분한 ATP는 생성하...2024.09.25
-
infarction2024.09.2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하는 질환이다. 현대의 고탄수화물, 고지방, 고열량 식생활과 좌식생활,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과 함께 늘어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은 심근경색의 가장 큰 원인이 되며 급성 심근경색으로...2024.09.29
-
간호내러티브2024.09.271. 심근경색증 1.1. 심근경색증의 진단 1.1.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심근경색증 진단을 위한 필수적인 검사이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로, 급성 심근경색증 시 특징적인 변화가 관찰된다. 심전도 검사에서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소견은 ST 분절의 상승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근이 허혈 상태에 빠지면서 ST 분절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ST 분절 상승은 경색 혈관의 위치와 범위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Q파의 출현, T파의 변화 등이 관찰될 수 있...2024.09.27
-
불안정형 협심증 간호진단2024.09.251. 협심증 1.1. 개요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오며 이 때 심한 흉통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심근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 유발의 원인이다. 즉,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저혈압, 빈혈 및 저산소혈증 등에 의한 심근의 산소 요구에 산소 공급이 부족할 때 협심증이 발생한다. 또한 운동, 흥분,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갑상샘 기능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에 의해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이 부담을 많이 느끼게 ...2024.09.25
-
약리학 중간고사2024.10.061. 심혈관계 기초 및 질환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1.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근육주머니로 심장막(pericardium)에 싸여있으며,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에 있는 심장 중 왼쪽 심장이 크다. 심장의 방은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로 구분되며, 심방은 혈액을 모아두는 부분이고 심실은 혈액을 밀어내는 부분이다. 특히 심실벽이 더 두꺼운데, 그중에서도 좌심실벽이 가장 두껍다. 심장벽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안쪽 층은 심장속막(endocardium)으로 단층편평상피조직으로 이루...2024.10.06
-
뇌경색 전해질불균형2024.10.081. 간호사례 요약 상기 환자 77세 남환으로 17일 17:30분 경 동네 마트 다녀온 후부터 갑자기 양발에 감각 무뎌져 인내하다 18일 07:00경에 자가 보행까지 불가능해질 정도로 상태 악화되어 118구급차타고 보호자 없이 본원 응급실 내원하였다. 도착 당시 V/S: BP 242/122mmHg, HR 93회/분, PR 18회/분, BT 36.2℃로 고혈압 보였고 Glucose(식전) 측정 시 242mg/dL 나왔으며 몇 주간 체중변화도 없었고 과거에 앓은 질환도 없었으며 수술력도 없다고 하셨다. 면담 시 환자 전 날 새벽에 구토...2024.10.08
-
심근경색 시뮬레이션2024.11.04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1.1. 환자 사정 1.1.1. 흉통의 사정 흉통의 사정은 심근경색 환자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흉통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병인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흉통의 시작 시간을 확인한다. 심근경색의 경우 통증이 갑자기 발생하며, 지속 시간은 보통 30분 이상이다. 이전에도 유사한 흉통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때마다 어느 정도 지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대부분 처음 경험하는 통증이다. 통증의 빈도와 지속 양상도 살펴봐야 한다. 심근경색 환자는 대체로 지속적인 통...2024.11.04
-
약리학 약물2024.10.211. 심혈관계 및 요로계 1.1. 협심증 치료 약물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 또는 폐쇄로 인해 심근으로 향하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이다. 협심증 치료에는 증상 완화와 장기적인 예후 개선을 위해 다양한 약물치료가 사용된다.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유기질산염, β 아드레날린 차단제, 칼슘 경로 차단제 등이 있다. ""유기질산염은 동맥과 정맥의 평활근을 확장시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내성이 잘 생기므로 급성 증상 완화에 주로 사용된다."" 또...2024.10.21
-
모야모야2024.10.201. 모야모야병 개요 1.1. 정의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이유 없이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양측 내경동맥의 원위부와 전대뇌동맥 및 중대뇌동맥의 시작 부분에 서서히 협착이 진행되어 폐쇄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감소된 대뇌 혈류를 보상하기 위해 뇌기저 부위에서 미세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혈관은 담배연기처럼 가늘게 두개골의 기저부 안으로 발달해 들어가므로 "모야모야 혈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69년 일본의 신경외과 의사 스즈키가 이 특징적인 혈관 모양을 보고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