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약리학 약물정리2024.10.211. 신경계 약물 1.1.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작용제는 도파민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거나 도파민의 생성을 촉진하여 도파민 활성을 높이는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레보도파(levodopa)는 파킨슨병의 가장 유효한 치료제로, 체내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도파민 결핍을 보충한다. 레보도파는 벤세라지드나 카르비도파 등의 도데카르복실라아제 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여하여 말초조직에서의 대사를 억제하고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유입을 촉진한다. 초기에는 증상 개선 효과가 뛰어나지만 장기 투여...2024.10.21
-
약리학문제2024.12.141.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1.1.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은 다음과 같다. 녹내장 환자에게는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일 수 있는 항콜린성 약물 사용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에는 atropine, ipratropium(Atrovent), scopolamine(Transderm-Scop) 등이 포함된다. 이 약물들은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여 녹내장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녹내장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 아드레날린 약물과 콜린 약물이다....2024.12.14
-
약리학 표2024.10.181. 생체 기관에 영향을 주는 약물 1.1. 호흡기계 영향 약물 호흡기계 영향 약물이란 호흡기계에 작용하여 호흡기능을 개선하거나 억제하는 약물들을 말한다. 이러한 약물들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코데인(Codeine)은 마약성 진해제로 뇌의 연수에 있는 기침중추를 직접 억제하여 기침반사를 억제한다. 코데인은 후두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18세 미만의 비만,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또는 중증 폐질환 환자에게는 투여를 피해야 한다. 부작용으로는 어지러움, 오심, 변비, 졸음, 구토, 과민증...2024.10.18
-
약리학 문제2024.10.151. 약물의 작용 1.1. 약물의 분류 및 특징 약물은 그 특성과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우선, 약물은 작용 부위에 따라 크게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 말초신경계 작용 약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에는 불안 및 수면장애 치료제, 기분장애 치료제, 정신병 치료제 등이 포함되며,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에는 교감신경계 약물과 부교감신경계 약물, 항콜린성 약물 등이 속한다. 또한 약물은 화학 구조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아편성 진통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페놀...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