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국사와 민족의 발전2024.09.141. 한국 근대사학사와 민족사학의 발전 1.1. 한말의 역사학 연구 동향 조선 말기에 새로운 역사학이 태동되는 배경의 하나로서 주목해야 할 것은, 뒷날 식민주의 역사학으로 발전하는 일본인 학자들의 한국사 연구이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연구는 이미 근대 이전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부터 이른바 국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古事記』, 『日本書紀』 등 일본의 고전을 연구하여 일본을 신국(神國)으로 규정하면서, 과거 일본의 신이나 왕이 한국의 고대국가를 지배했고, 한국의 왕족과 귀족들이 일본에 복속했다는 등 한국...2024.09.14
-
한국근대사감춰진이야기2024.11.101. 신채호 재평가 1.1. 신채호의 등장 신채호는 호는 단재로, 1880년 충청남도 대덕군 산골에서 태어났다. 신채호의 할아버지가 그에게 한학을 가르쳤으며, 10세 때 사서삼경을 읽어 신동으로 알려졌다. 18세가 되자 할아버지의 소개로 신기선의 집에 가게 된다. 신채호는 그곳에서 장서를 읽었고 신기선의 마음에 들게 된다. 1898년에 신기선의 추천으로 성균관에 입학해 관장의 총애를 받는다. 당시 이름 높은 유학자이자 성균관 교수였던 이남규의 아래에서 배우며 김연성 ·변영만 ·이장식 ·유인식 등과 교류했다. 성균관에 입학하고 얼마...2024.11.10
-
김산, 님 웨일즈 “아리랑2024.12.181. 김산(장지락)의 생애와 아리랑 1.1. 이 책의 유래와 출판 이 책은 폭풍의 시대에 역사가 명하는 바에 따라 불화살 같이 살아간 한 조선인 독립혁명가 '김산'의 고뇌, 좌절, 사랑, 열정, 사상의 피어린 발자취를 쓴 글이다. 이 글은 젊고 명석한 여성 언론인이며 작가였던 님 웨일즈(을 쓴 에드가 스노의 부인)가 김산(본명 장지락·1905~1938)을 약 6개월간 22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눈 끝에 쓴 것이다. 그들은 1937년 7월 장마가 계속되던 중국 서북부의 연안에서 만난다. "작은 약소국 조선이 흘린 피가 결코 물에 녹아...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