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체액 삼투압 범위2024.09.221. 체액과 전해질 1.1. 체액 생리 1.1.1. 세포 외액과 세포 내액 세포 외액과 세포 내액은 체액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세포 외액은 체중의 약 20%를 차지하며 혈관 내 용액(혈장)과 세포 주위 간질액으로 구성된다. 세포 외액의 주요 기능은 혈량을 유지하고 순환계를 통해 혈액을 이동시키며, 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수분 이동을 통해 신체의 운송체계 역할을 한다. 한편 세포 내액은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며 세포 내에 존재한다. 세포 내액은 세포의 화학적 기능이 일어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 내액과 세...2024.09.22
-
요붕증 체액부족2024.10.221. 요붕증(Diabetes Insipidus) 1.1. 정의 요붕증(diabetes insipidus)은 항이뇨호르몬(ADH)의 결핍에 의한 신장의 수분 재흡수 장애이다."우리 몸의 수분이 부족할 때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 영어로 바소프레신은 신장의 세뇨관에서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수분을 재흡수시킴으로써 몸속의 수분을 유지하고 소변을 농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요붕증이란 이러한 조절기능에 이상이 발생함으로써 소변이 농축되지 않아 과다한 양의 소변이 배설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된다." ...2024.10.22
-
보행의 어려움과 관련된 낙상2024.11.131.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1.1. 해부생리 뇌의 혈류 공급은 대동맥으로부터 우측 무명동맥, 좌측 총경동맥과 좌측 쇄골하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두동맥은 내경동맥(대뇌 반구의 대부분, 기저신경절 및 간뇌의 상부 2/3의 혈류를 공급), 추골동맥(뇌간, 간뇌의 하1/3, 소뇌와 후두엽에 혈류를 공급)이다. 이 두 동맥계는 윌리스 환에서 접합한다. 윌리스 환은 내경동맥, 전뇌동맥, 후뇌동맥, 전교통동맥과 후교통동맥에 의해 상호 연결 되어 형성된다. 윌리스 환은 혈류와 혈압의 변화를 보상한다. 전도혈관으로...2024.11.13
-
신장 수분 전해질2024.12.251. 신장과 체액 생리학 1.1. 신장 1.1.1. 신장의 구조 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겉질과 내층인 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은 겉질로부터 속질 쪽으로 배열돼 있고, 한쪽 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네프론은 신소체(말피기소체)와 세뇨관으로 되어 있으며, 신소체는 사구체(모세혈관 덩어리)와 보먼주머니로 이루어졌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일반 조직의 모세혈관과 다르게 토리주머니의 속층과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 토리여과는 모세혈관 벽과 토리주머니벽을...2024.12.25
-
요붕증2024.09.021.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1.1. 정의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이 부족하거나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는 정상이지만 신장에 문제가 있어 항이뇨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즉, 우리 몸에서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인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부족 또는 신장에서의 작용 저하로 인해 소변이 적절히 농축되지 않고 다량으로 배출되어 심각한 탈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요붕증의 정의이다. 1.2. 분류 1.2.1. 신경성 요붕증 (중추성 요붕증) 신경성 요...2024.09.02
-
성인간호학체액 전해질2024.09.051. 체액과 전해질 1.1. 생리 1.1.1. 체액 구성 체액은 성인 체중의 약 60%, 영아 체중의 약 70%를 차지하며, 인체의 생명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s,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ar fluids, ECF)으로 구분된다. 세포내액은 세포 내에 존재하며, 총 체액의 2/3, 체중의 40%를 차지한다. 세포내액은 세포의 화학적 기능이 일어나게 한다. 세포외액은 총 체액의 1/3, 체중의 20%를 차지한다. 세포외액은 혈량을 유지하고 순환계를 통...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