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혈액종양내과2024.09.161. 혈액종양내과 질환 1.1. 백혈병 1.1.1. 정의 및 원인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으로 퍼져 나와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질병이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 방사선 노출, 벤젠 등 화학물질 노출, 흡연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소인으로는 다운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급성백혈병 환자 가족의 발병이 있다. 또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위험 요인으로 흡연, 방사선 노출(원폭...2024.09.16
-
위암 수술후 관리2024.09.211. 위암의 이해 1.1. 위암의 정의와 병태생리 위암은 위의 점막층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주로 위 선암의 형태로 나타난다. 위암은 점막층에서 시작하여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점점 침윤하게 되고,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며 최종적으로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전신을 퍼지게 된다. 이때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구분된다. 조기위암은 림프절 전이가 없이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이며, 진행성 위암은 근육층이나 장막층에 침윤되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이다. 위암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2024.09.21
-
폐결절 간호2024.09.251.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 1.1. 정의 폐결절은 폐 내부에 생긴 지름 3cm 미만의 작은 구상 병변으로 보통 1개만 있어서 고립성 폐결절이라고도 한다. 병변의 크기가 지름 3cm 이상일 때는 결절이 아닌 종양 또는 혹이라고 부른다. 보통 무증상인 관계로 건강 검진 시 흉부 X선이나 CT 촬영을 통해 발견된다. 최근에는 CT가 보편화되면서 이전에는 발견되지 못했던 1cm 미만의 간유리음영(ground-glass opacity)을 보이는 병변도 고립성 폐결절에 준하여 임상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2024.09.25
-
아동 백혈병 케이스2024.10.051.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개요 1.1. 정의 및 특징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은 혈액 및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혈액 내 세포들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증식, 분화, 성숙 및 파괴 과정을 되풀이하는데, 이러한 혈액 세포를 만들어내기 위한 조상 세포를 조혈모세포라고 한다. 조혈모세포는 뼈 속의 골수(뼈 속 공간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라는 곳에 주로 위치한다. 급성 림프성 백혈병은 어린이 백혈병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 성인에서 발생되는...2024.10.05
-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다발성골수종2024.10.301.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1.1. 정의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은 주로 림프모구 선조세포에서 비롯된 악성 종양성 질환이다. 이 선조세포에서 비정상적인 림프구의 증식이 시작되어, 골수와 혈액에서 다른 건강한 세포들의 생성과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이로 인해 건강한 혈액세포들의 생성과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다. ALL은 전신적인 질병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로, 빈혈, 무력감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암세포의 증식은 면역 시스템을 약화시켜 감염 및 합병증의 위험이 ...2024.10.30
-
급성 골수성 백혈병2024.10.281. 급성 골수성 백혈병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백혈병은 혈액,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미분화된 백혈병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 침윤되는 혈액의 악성질환이다. 골수나 말초 혈액에 골수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골수성 백혈병으로 정의하는데,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생명을 위협하는 백혈병으로 정상적으로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및 단핵구로 발달하는 세포가 암성이 되고, 골수에 있는 정상 세포를 빠르게 교체한다. 미성숙 과립구(골수아구, myeloblast)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골수에 축적하...2024.10.28
-
성인간호학 뇌종양 간호진단 간호과정2024.11.231. 서론 1.1. 두개강내 종양의 정의 및 특징 두개강내 종양이란 뇌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으로부터 발생되는 원발성 두개강내 종양과 두개골이나 그 주변구조물 혹은 두부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나 경막으로 전이 된 이차성 두개강내 종양(전이성 종양)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이다. 엄밀한 의미의 뇌종양은 뇌실질이나 뇌실내에서 발생한 축내 종양만을 의미하며, 수막종, 뇌하수체 종양, 전이성 종양 같이 지주막하 공간이나 뇌막에 발생한 종양은 축외 종양으로 불린다. 두개강 내 종양의 특징적인 소견으로는 첫째, 종양이 두개골에서 발생하...2024.11.23
-
후두종양2024.11.20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후두종양(Larynx cancer)은 전체 암 발생률의 약 2~5%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 남성 흡연율이 32%로 OECD 국가 중 최상위권을 기록하였고 흡연이 후두암 발생의 가장 큰 요인이다. 또한 한국 남성에게 발생한 전체 악성 종양 중에서 매년 10위를 벗어난 적이 없는 후두암에 대해 우리 모두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해당 대상자 간호에 대해 연구하고 이해도를 높여 향후 임상에 있어서 간호의 질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2024.11.20
-
췌장암 케이스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2024.11.121. 서론 1.1. 실습 배경 '1.1. 실습 배경'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병원 ○○에서 2주 동안 실습하게 되었다. 이번 실습병동은 소화기내과로 처음으로 내과 병동에서 실습하게 되었다. 소화기 질환 중 HCC, LC, 결장염, stomach ca. 등 다양한 질환을 가지고 입원한 환자가 대다수였다. 나는 그 중 소화기 질병 중 가장 늦게 발견하며, 어떠한 증상이 잘 없다는 췌장암 환자를 케이스 대상자로 정하였다. 나는 대상자에게 간호학생으로서 대상자와 라포를 형성하기 위해 대화를 많이 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얻고 더...2024.11.12
-
자궁경부암 case study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2024.08.251. 서론 1.1. 자궁경부암의 개요와 중요성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여성암 중 4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요한 여성암이라고 할 수 있다. 자궁경부는 자궁의 아래쪽에 질과 연결되는 부분에 있는데, 이 부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자궁경부암이라고 한다. 자궁경부암은 전암단계(침윤전암)와 침윤암으로 나뉘며,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80%)과 선암(10~20%)이 발병한다. 자궁경부암은 0기부터 4기까지 단계가 나뉘는데, 0기 암을 상피내암, 1기부터 4기를 침윤성...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