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다제내성균2024.09.101. 다제내성균의 개념과 분류 1.1. 다제내성균의 정의 다제내성균이란 항생제에 잘 죽지 않는 균을 의미한다. 항생제를 사용하다 보면 일부 내성균이 살아남아 번식하게 되고, 이렇게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을 다제내성균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고 있으며, 새롭게 출현하는 내성균의 국내 유입 및 확산이 감염관리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2.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다제내성균 종류 1.2.1.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은 황색포도상...2024.09.10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2024.11.261. 약물내성과 전염병 1.1. 약물내성 1.1.1. 약물내성이란? 약물내성이란 약물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어서 동일한 약효를 얻기 위해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물의 흡수와 대사가 변하는 경우나 생체 세포의 저항성이 증대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는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환자의 체내에서 약물에 견딜 수 있는 미생물이 선별적으로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약물에 대한 내성을 가진 미생물은 해당 약물을 분해하거나 약물이 작용하는 부위를 변형시킴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무력화시킨다. 이처럼 약물내성은...2024.11.26
-
QI질향상다제내성균 감염관리2024.08.151. 서론 1.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와 중요성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은 병원 내에서 감염을 일으키면서 여러 가지 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감염균을 말한다. 이러한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은 병원 내 감염 관리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의 미생물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와 같은 화학요법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감염균이 이러한 항생제나 화학요법제에 내성을 갖게 되면 해당 치료제의 효과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약물 내성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도 한...2024.08.15
-
화학탐구보고서2024.09.041. 항생제의 구조와 작용 원리 1.1. 항생제의 분류와 세균에 대한 작용 기전 항생제는 크게 작용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이다. 베타-락탐계 항생제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세균 세포벽 합성의 핵심 효소인 펩티도글리칸 합성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생장과 증식을 막는다. 이처럼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을 사멸시키는 항생제는 대부분 인체 세포에는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선택적 독성을 나타낸다. 둘째,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이다. 리보솜에 작용하여 단백질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