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감염 개선활동2024.09.171.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활동 1.1. 개선 활동 추진 배경 2023년 감염관리 위원회의 본원 Risk Assessment tool 선정 결과에 따르면 손위생 수행률,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 부적절한 환경 관리 순으로 높은 위험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손위생 수행률이 낮고(75%), 다제내성균 원내 발생 건수가 증가(CRE 1건, MRSA 2건)했으며, 환경관리 수행률이 낮은(60%) 점이 감염 발생률 증가와 관련되어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로 인해 의료관련감염 발생 위험, 환자 안전 저하, 감염 확산 가능...2024.09.17
-
CRE2024.10.07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VRE) 1.1. 정의 및 개요 장알균(Enterococcus)은 사람들의 입안, 위장관, 질, 요도에 정상적으로 상주하고 있는 세균이다. 장알균은 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골관절 감염, 감염심내막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알균 중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은 Enterococcus f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이다. 장알균의 치료에는 페니실린(penicillin)이나 암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고 이러한 약제에...2024.10.07
-
A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흡인성폐렴 케이스2024.10.011. 질환 개요 1.1. 정의 폐는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이다." 1.2. 원인 폐렴의 주된 원인은 주로 방어기전이 불완전하거나 감염원의 독성이 강하거나 수가 많을 때 발생한다.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의식 저하 시 기침반사와 후두개반사가 저하되어 구인두 내의 내용물이 폐로 흡입되는 것이 흡인성 폐렴의 주요 원인이다. 기관 내 삽관은 정상 기침반사와 점액 섬모의 상승기전을 방해하여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점액 섬모기전은 공기오염, 흡연,...2024.10.01
-
아동 변비 간호중재2024.09.121. 소아 배변 장애 1.1. 소아 탈수 간호 1.1.1. 응급처치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탈수를 막는 것이다. 보통 위장관염(장염)이 동반되어 구토나 설사를 하는 아이들은 잘 먹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이거나 먹으면 구토를 하려는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탈수가 점점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소량씩 자주 먹이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에서는 차갑게 해서 먹이는 게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이런 방법을 사용해도 아이가 지속적으로 토하거나 설사가 지속된다면, 지체 없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아이가 먹었...2024.09.12
-
아세트아미노펜 카페인2024.11.031. LC-UV를 이용한 아세트아미노펜 및 카페인의 정량 실험 1.1. 실험 원리 이동상으로 액체를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라고 한다. 이 방법은 injector, column, pump, detector로 구성되어 미량의 시료를 신속하고 간편하며 재현성 있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HPLC로 얻어지는 크로마토그램의 peak를 통해 정성분석을 하고 그 면적으로부터 정량분석을 할 수 있다. 1.2. 실험 재료 및 기구 실험 재료 및 기구는 다음과 같다"" 시약으로는 Methanol, Caffeine, Acetam...2024.11.03
-
신규간호사 항생제2025.02.241. 서론 신규간호사의 항생제 사용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발열 시 해열제의 종류와 사용 시기, 항생제 투여 방법과 주의사항, 감염 증상별 적절한 항생제 선택 등은 신규간호사가 숙지해야 할 핵심 내용이다. 또한 신규간호사와 보호자, 경력간호사, 의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효과적인 환자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이 보고서에서는 신규간호사의 항생제 사용과 관련된 내용 및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신규간호사와 항생제 사용 2.1. 발열과 해열제 사용 해열제에는 아세트아미노펜(Aspirin), 비...2025.02.24
-
고관절 치환술 수술후 교육 QI2025.04.031. 고관절 치환술 수술 후 교육 QI 1.1. 문제 발견 1.1.1. 팀 구성 팀 구성이다.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적정성 향상을 위한 QI 활동은 본원의 QPS(Quality & Paitent Safety) 위원회에서 2015년 병원차원의 QI 활동 주제와 병원지표로 선정 및 승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팀은 QPS 위원장인 산부인과 과장을 팀장으로 하여 계열별(정형외과, 신경외과, 외과) 수술의 진료과장 각 1명, 외과 계열 병동(정형외과, 신경외과, 외과, 산부인과)의 간호팀장, 평가간호부, 적정진료파트, 전산파트, 약제팀에서...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