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개
-
다제내성균2024.09.101. 다제내성균의 개념과 분류 1.1. 다제내성균의 정의 다제내성균이란 항생제에 잘 죽지 않는 균을 의미한다. 항생제를 사용하다 보면 일부 내성균이 살아남아 번식하게 되고, 이렇게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을 다제내성균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고 있으며, 새롭게 출현하는 내성균의 국내 유입 및 확산이 감염관리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2.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다제내성균 종류 1.2.1.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은 황색포도상...2024.09.10
-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개선활동2024.09.171. 서론 다제내성균이라고도 불리는 '슈퍼 박테리아'는 여러 종류의 강력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병원체이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공중보건 분야 최대 위협 중 하나로,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70만 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그 수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17년을 기준으로 다제내성균 감염자 수가 10만 명을 넘어서며, 그 중 90일 이내에 사망한 대상자의 수는 약 4천명에 달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정작 이에 대한 대응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항생제에 대한...2024.09.17
-
항생제 내성과 수퍼박테리아2024.10.021. 서론 1.1. 슈퍼박테리아와 항생제 내성의 중요성 슈퍼박테리아와 항생제 내성의 중요성은 인류에게 있어 심각한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 항생제가 발견되어 많은 생명을 구해왔지만,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인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은 이제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슈퍼박테리아란 어떤 항생제를 써도 죽이기 어려운 강한 내성을 가진 세균을 의미한다. 이는 항생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세균 스스로가 내성 기작을 얻어 저항력을 키워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수많은 내성균들이 등장...2024.10.02
-
항생제와 수퍼박테리아 느낀점2024.10.021.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특징 1.1. 다제내성균의 정의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강력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체로, 슈퍼 박테리아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최근 의료계의 중요한 화제 중 하나이다. 다제내성균에는 VRSA, VRE, MRSA, MRPA, MRAB, CRE가 대표적이며, 이 6가지 균종은 모두 강한 항생제에 내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공중 보건 분야 최대 위협 중 하나로, 매년 전 세계 약 70만 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며 그 수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2024.10.02
-
CRE2024.10.07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VRE) 1.1. 정의 및 개요 장알균(Enterococcus)은 사람들의 입안, 위장관, 질, 요도에 정상적으로 상주하고 있는 세균이다. 장알균은 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골관절 감염, 감염심내막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알균 중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은 Enterococcus f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이다. 장알균의 치료에는 페니실린(penicillin)이나 암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고 이러한 약제에...2024.10.07
-
Gmo식품 통합적관점2024.10.071.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논의 1.1. 유전자변형식품이란 1.1.1. 정의 유전자재조합 기술은 어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예: 추위, 병충해, 살충제, 제초제 등에 강한 성질)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이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새로운 농·축·수산물 중 안전성이 확인되어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1.1.2. 유전자재조합 기술과 종래의 품종개량 기술과의 차이점 유전자재조합 기술과 종래의 품종개량 기술과의 차이점은 다음...2024.10.07
-
다제내성균 분류와 간호2024.10.061. 다제내성균 감염과 관리 1.1. 다제내성균 종류 및 특성 1.1.1.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은 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황색포도알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메티실린에 내성을 보이는데, 이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e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이라고 한다. MRSA의 경우 다른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고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만 치료가 가능하나, VRSA는 ...2024.10.06
-
병원감염 관리와 수두 케이스2024.09.191. 병원감염(원내감염) 관리와 간호 1.1. 병원감염이란? 병원감염(원내감염)이란 입원 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외과 수술 환자-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되는데, 의학의 발전, 노령인구의 증가, 만성퇴행성 질환자의 증가, 다수의 항균제 남용, 항암제 및 면역 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부전 환자의 증가, 각종 침습적 의료 처치의 이용 확대 등으로 인해 병원 감염률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의사, 간호사, 의료인의 접촉, 카테터, 내시경 등 혈...2024.09.19
-
gmo 반대2024.09.191. GMO 식품에 대한 이해 1.1.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식품이란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식품이란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량 증대, 유통·가공상의 편의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기존의 육종방법으로는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을 말한다"".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통해 어떤 생물체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 것이 GMO 식품의 핵심 기술이다"". 최초의 상업적 GM...2024.09.19
-
감염미생물학 중간고사 문제2024.10.011. 병원 미생물학 1.1. 그람양성알균 1.1.1. 포도알균(Staphylococcus) 포도알균(Staphylococcus)은 피부나 다른 장기의 농양, 위장염(식중독)을 일으키는 그람양성알균이다. 대표적인 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그리고 사프로필러스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등이 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화농성 염증과 식중독을 유발하는데, ...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