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디스크확산법2024.09.271. 항생물질 및 항균제 1.1. 항생물질의 분류 1.1.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는 크게 여러 가지로 나뉜다. 대표적인 예로 β-lactam계, aminoglycoside계, macrolide계, tetracycline계, quinolone계, glycopeptide계 등으로 구분된다. β-lactam계 항생물질은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4개의 고리 구조인 β-lactam고리를 가지고 있다. ...2024.09.27
-
발효식품학2024.09.221. 발효식품 김치 1.1. 김치의 특성 및 중요성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이다. 김치는 배추나 무 등의 식재료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을 섞어 발효시킨 발효식품으로,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균과 각종 유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김치는 맛, 영양 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이 탁월한 식품이다. 김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치는 한국인의 식사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어 한식의 대표적인 반찬이다. 김치는 마늘, 고춧가루, 젓갈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독특한 맛과 풍미를 내며, ...2024.09.22
-
디스크 확산법2024.10.201. 항생물질이란 1.1. 항생물질의 정의 항생물질이란 생물, 특히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1.2. 항생물질의 분류 1.2.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는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항생물질들을 묶어서 분류한 것이다. 대표적인 화학구조에 따른 항생물질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타락탐(β-lactam) 계열 항생물질이다. 이 계열에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카바페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β-lactam 고...2024.10.20
-
병원 미생물학 정리2024.09.281. 미생물학 개요 1.1. 병원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은 '미생물(micro=small;bios=living;-logy=study)'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이 포함된다. 이들 미생물들은 단순한 구조와 신속한 증식력,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놀라운 적응력...2024.09.28
-
항생제 종류2024.11.061. 항생제 개요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물질(Antibiotics)이란 방선균이나 진균 등의 미생물이 생성한 2차 대사산물이며 분자량이 작고 대부분 화학구성이 단백질이 아니면서 자기를 제외한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이다."" 1.2. 항생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1.2.1. 세포벽 합성 저해 세포벽 합성 저해란 항생제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이다. 세포벽은 세균 생존에 필수적이므로, 이를 파괴하거나 합성을 저해하면 세균이 사멸하게 된다. 대표적인 세포...2024.11.06
-
천연항생물질 비교2024.12.18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20년 3월 11일에 코로나19에 대한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선 백신과 치료제 개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감염되지 않기 위해 예방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위생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고했다. 위생 관리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손을 씻기 위해서는 20초 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자주 실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비교적 간편한 손소독제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친구들과 토의해본 결과, '어...2024.12.18
-
천연항생물질2024.09.031. 항생물질의 역사와 개발 1.1. 항생물질의 발견과 개발 과정 항생물질의 발견과 개발 과정은 20세기 의약 분야에서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은 우연히 푸른곰팡이의 배양물이 그람음성 병원균에 대해 치사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페니실린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항생물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1940년대에는 다양한 과학자들에 의해 중요한 항생물질들이 발견되었다. 셀만 왁스만은 토양에서 분리된 세균으로부터 스트렙토마이신을, 화이...2024.09.03
-
천연 항생물질2024.09.101. 항생물질의 역사와 개발 1.1. 항생물질의 발견과 초기 연구 항생물질의 발견과 초기 연구는 20세기 의약 분야에서 이룩한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이 우연히 푸른곰팡이에서 항균 효과를 지닌 물질, 즉 페니실린을 발견한 것이 그 시작이다. 이후 1940년대에 들어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항생물질 개발에 본격적으로 박차가 가해졌다. 셀만 왁스만은 토양에서 분리된 세균으로부터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하였고, 화이자제약의 설립자인 화이자는 공장 근처 토양에서 옥시테트라마이신,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