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심방세동 케이스2024.10.311. 서론 1.1.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1.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은 심근의 전기적 전도와 흥분전달장애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또한 심근이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심근이 허혈 되면 과민상태가 되어 부정맥을 초래한다. 부정맥의 형태는 정상인에게도 올 수 있는 가벼운 리듬장애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장애까지 다양하다. 가장 흔한 원인은 심근세포의 손상과 심근의 국소빈혈이다.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 등의 전해질 불균형, 심장을 자극하는 ...2024.10.31
-
약리학 약물정리2024.10.211. 신경계 약물 1.1.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작용제는 도파민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거나 도파민의 생성을 촉진하여 도파민 활성을 높이는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레보도파(levodopa)는 파킨슨병의 가장 유효한 치료제로, 체내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도파민 결핍을 보충한다. 레보도파는 벤세라지드나 카르비도파 등의 도데카르복실라아제 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여하여 말초조직에서의 대사를 억제하고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유입을 촉진한다. 초기에는 증상 개선 효과가 뛰어나지만 장기 투여...2024.10.21
-
부정맥2024.10.111. 부정맥 1.1. 부정맥의 개념 부정맥은 심장 전도체계의 비정상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 자극이 심장에서 만들어질 때나 그 전도 과정에 이상이 있는 증상을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성인의 심박수는 분당 60~80회이며, 분당 60~100회까지를 정상 맥박이라고 한다. 하지만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박동수가 너무 빠른 빈맥과 너무 느린 서맥의 두 가지로 나뉜다. 빈맥은 심방 또는 심실에서 기원하며, 규칙적인 빈맥과 불규칙적인 빈맥으로 구분된다. 특히 심실에서 발생한 빈맥은 심실세동으로 진행될 수 있어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심...2024.10.11
-
심방세동2024.11.181. 서론 대상자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선린병원에 검진을 받은 후 가슴에 물이 찼다는 소견을 듣고 본원에 입원하고 계시며, 얼굴 및 하지의 부종, 호흡곤란 및 병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을 대상으로 케이스를 함으로써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안위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2. 문헌고찰 2.1. 심장의 구조와 기능 2.1.1. 심장의 위치와 구조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이다. 심장의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2024.11.18
-
약물학 정리2024.11.201.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과 부작용 1.1. 신경계 약물 1.1.1.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는 모든 통증을 완화 또는 소실시키는 약물로서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의식의 소실 없이 진통작용만을 나타내는 약물이다. 마약성 진통제는 효능약, 부분 효능약, 순수 길항약으로 분류할 수 있다. 효능약에는 opium, morphine, codein, meperidine, methadone, oxycodon, fentanyl 등이 있다. 이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도취감, 졸음, 기분 전환, 정신 혼탁, 구토감, 체온하강, 강력한 ...2024.11.20
-
심혈관계 약물 정리2024.11.121. 심혈관계 약물 1.1. 항부정맥제 1.1.1. 항부정맥제의 작용기전 항부정맥제의 작용기전은 심장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근 이온통로(Na+, K+, Ca2+ 등)에 작용하여 이들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부정맥을 억제한다. 첫째, 불응기를 연장시킨다. 불응기는 세포가 활동전위를 일으킬 수 없는 시기로, 이 시기가 길어지면 회귀성 리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둘째, 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전도 속도가 느려지면 심실세동과 같은 부정맥의 발생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기전을 통해 항부정맥제...2024.11.12
-
부정맥 치료2024.10.211. 서론 간호학 321 심혜원 Package part.1에서 만나게 된 심혜원(F/56)님은 part.2에서 chest pain이 지속되어 CAG를 시행하였으나 part.3에서 찡그리는 표정과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며 가슴이 빨리 뛰고 두근거린다고 호소하여 Patient monitor를 보며 cartoid sinus massage를 시행하였고 EKG 리듬과 HR이 서서히 느려지다가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심혜원님은 힘없는 목소리로 힘들다고 호소하였다. 현재 부정맥은 40세 이상 4명 중 1명에게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2024.10.21
-
약물로 인한 심정지 케이스2024.08.23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심정지는 심장이 갑자기 멈추어 더 이상 혈액을 순환시키지 못하는 상태로, 수 분 내에 치명적인 뇌손상이 올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즉시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통해 심장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신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심정지 환자에게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2024.08.23
-
마취 약물2024.09.031. 마취과 약물 개요 1.1. 마취 약물의 종류 마취 약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전신마취제, 근이완제, 진통제, 항구토제, 수면진정제 등 다양한 계열의 약물들이 마취 과정에 사용된다. 전신마취제에는 흡입마취제와 정맥마취제가 있다. 흡입마취제에는 Sevoflurane, Desflurane, N2O 등이 있으며, 정맥마취제에는 Thiopental sodium, Etomidate, Propofol, Alfentanil, Fentanyl, Methadone 등이 있다. 근이완제에는 탈분극성 근이완제인 Succinylcholi...2024.09.03
-
호흡기병동 실습2024.09.101. 호흡기계 병동 실습 1.1. 호흡기 관련 용어 및 약어 호흡기 관련 용어 및 약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 및 약어는 호흡기계 병동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들로, 이해하고 숙지해야 효과적으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는 동맥혈 가스분석으로, 혈액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 pH 등을 확인하여 호흡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는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을 말하며, 폐에 중증의 염증반응이 발생하여 호흡...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