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미생물 배지 제조2024.09.191. 미생물 배양 및 배지 제조 1.1. 실험 목적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생물을 배양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지(medium)를 사용한다.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영양 성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배지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목적은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영양요구조건을 파악한 뒤, 적합한 배지를 선택하여 제조하는 데 있다. 즉,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맞는 적절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배지(Medium)의 ...2024.09.19
-
배지 종류2024.10.121. 배지(Culture Medium) 1.1. 배지(Culture Medium)의 정의 배지(Culture Medium)란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고화시키거나 그 밖의 목적을 위한 물질을 가한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 배양기라고도 하며, 생물이 생존과 발육에 필요한 물을 비롯한 영양물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생물은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등을 요구하는데, 개체 상에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모두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로 배양액에서 공급해주어...2024.10.12
-
agar 배지 제조 및 세균 배양에 대한 예비 보고서를 써줘2024.09.071. 미생물 고체배지 만들기 및 도말법 1.1. 실험 목적 및 개요 미생물 고체배지 만들기 및 도말법의 실험 목적 및 개요는 다음과 같다. 미생물 고체 배지를 만들어 보고 변화를 관찰하며, 도말법을 숙지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미생물 고체 배지를 직접 제작하고 도말법을 실습하여 미생물 배양 기술을 익히는 것이 실험의 주요 개요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Luria Bertani(LB) 고체 배지를 만들어 보고, 도말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콜로니를 관찰하며, 이를 통해 미생물 배양의 기본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이번 ...2024.09.07
-
배지무균시험법2024.09.021. 배지의 종류와 특성 1.1. 배지의 주요 성분 1.1.1. 펩톤(peptone) 펩톤(peptone)은 카제인(casein), 동물의 근육 등의 단백질을 펩신(pepsin) 또는 트립신(trypsin), 팬크레아틴(pancreatin) 등의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작은 분자의 황색 분말이다. 펩톤은 단백질의 종류와 분해 방법에 따라 구성 성분에 차이가 있다. 카제인의 효소 분해물인 트립티케이스(trypticase), 카시톤(casitone), 트립톤(tryptone) 등은 트립토판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세균 대사에 필요한 탄...2024.09.02
-
미생물이 쉽게이용하는 영양원2024.08.271. 미생물의 배지와 배양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은 매우 작고 단순한 생물로, 단세포나 다세포로 존재하며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구분된다. 원핵생물에는 세균과 고세균이, 진핵생물에는 진균, 식물, 동물 등이 포함된다.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연구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배지이다.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으며, 대부분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미생물은 진정핵(진핵생물)과 원핵생물로 구분되는데, 진정핵생물에는 진균(곰팡이, 효모)과 원생생물이 포함되고, 원핵생물에...2024.08.27
-
미생물이 쉽게이용하는 영양원 3가지2024.08.271. 서론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은 작다는 의미인 "micro"와 생물이라는 의미인 "organism"을 합한 용어로, 매우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이다. 미생물은 원생생물,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다양한 생물종을 포함하며, 유전적, 생리적, 생화학적, 생태학적으로 다양성을 보인다. 미생물은 원핵미생물과 진핵미생물로 나뉘는데, 원핵미생물은 핵산을 둘러싸고 있는 핵막이 없고 핵산이 세포질 내에 존재하며 대부분 단세포로 이루어진다. 주로 세균과 고세균 등이 원핵미생물에 포함된다. 진핵미생물은 막으로...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