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중세국어용비어천가2024.09.131. 중세국어의 특징 1.1. 음운 체계 1.1.1. 자음 체계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는 총 16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음 계열에는 'ㅂ, ㄷ, ㅈ, ㅅ, ㆁ, ㄱ, ㅎ'이 있었고, 경음 계열에는 'ㅃ, ㄸ, ㅉ, ㅆ'가 있었다. 또한 격음 계열에는 'ㅍ, ㅌ, ㅊ'이 있었다. 이 외에도 'ㄹ, ㅁ, ㅂ'의 유음 및 비음 자음이 존재하였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ㅸ'과 'ㅿ'이라는 독특한 자음들이 존재하였다. 'ㅸ'은 순경음 비읍(非읍)으로 발음되었고, 'ㅿ'은 ...2024.09.13
-
한국 한자어 특징2024.09.141.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자 사용 1.1. 한국어의 한자 사용 1.1.1. 한국어의 한자 특징과 역사 한국어의 한자 특징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언어로,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문자 표기는 한자였다. 그러나 한문의 유입 이후에 고유명사의 표기 등 한국어 표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단음절, 고립어였던 한자는 다음절, 교착어였던 한국어를 표기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자를 이용해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법인 이두, 구결, 향찰이 발생하였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2024.09.14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의 접사2024.10.111. 단어의 형성 1.1. 단어의 형태 구조 단어의 형태 구조는 단어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관계와 특성을 다루는데, 이를 통해 단어 형성 과정과 단어 단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형태소이다. 형태소는 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구분된다. 자립형태소는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이고, 의존형태소는 다른 요소에 의지하여 쓰여야 하는 형태소이다"" 둘째, 단어 내부에 존재하는 형태소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어를 분류할 수 있다. ...2024.10.11
-
한국어 한글학교 교재사용 찬성 반대2024.10.281. 서론 1.1. 한국어의 세계사적 위치 현재 세계 속에서 한국어가 차지하고 있는 세계사적 위치는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특정한 사상의 제국주의나 식민지, 자본주의나 공산주의와 같은 20세기의 이데올로기 간의 이분법이 무너지는 21세기의 다양성과 상생의 법칙이 통하게 될 지구촌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혁기에 서 있는 한국은 세계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 그 나라의 문화를 열어줄 열쇠로 언어에 대한 관심이 고유어보다도 더 크게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2024.10.28
-
우리 문화 속의 한자어2024.10.091. 한자어와 국어의 관계 1.1. 한자어의 특징과 국어에 미친 영향 한자어는 양적으로 가장 많이 국어에 유입되어 현대 한국어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어에서 빌려온 단어 중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한자어'라 부른다. 이처럼 중국어 차용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특별하다는 것은 한자어라는 별칭이 있는 것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한자어는 고유어에 비해 단어 형성에 있어 제약이 적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써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가 어간과 접사의 결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복합 개념을...2024.10.09
-
중세국어의이해 자음2024.11.111.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 1.1.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 및 자료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고려 중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약 400년 동안으로, 10세기부터 14세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국어는 고대 한국어에서 현대 한국어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기 중세국어의 주요 문헌 자료로는 『계림유사(鷄林類事)』,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이중역(二重曆)』, 고려 가요, 『고려사(高麗史)』,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번역방통사(飜譯朴通事)』와 『훈몽자회(訓蒙字會)』, 그리고 불경 자료들이 있다...2024.11.11
-
자음 체계의 변천2024.12.041. 언어의 변천과 표기법 1.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1. 향찰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의 한 방식이다. 향찰에서는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적지...2024.12.04
-
V-(으)ㄹ 거예요2024.11.241. 한국어 교재 어휘 및 문법 항목 분석 1.1. 한국어뱅크 TOPIK I 한권이면 OK 1.1.1. 어휘 항목 TOPIK I 한권이면 OK의 1과 어휘 항목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본 생활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디, 가방, 공원, 시장, 식당, 아침, 오전, 운동, 일주일, 주말, 책상, 친구, 학교, 무슨, 아주, 얼마나, 가다, 공부하다, 좋아하다, 마시다, 만나다, 먹다, 배우다, 사다, 여행하다, 많다, 맛없다, 맛있다, 비싸다, 싸다, 예쁘다, 작다, 크다, 어제" 등의 기본 명사, 의문사, ...2024.11.24
-
한국어와 친근한 언어를 선택하고 두 언어의 관련성을 설명해 보라2025.02.141. 서론 1.1.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순의 유사성, 조사 사용의 유사성, 한자어 사용의 유사성 등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언어 모두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고 있으며, 조사를 사용하여 격을 표현하기 때문에 문장 배열에 자유로움이 있다. 또한 한자문화권에 속하여 한자어 사용에서도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가족', '기분', '도구' 등의 한자어 단어에서 발음이 유사하다. 이처럼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 유형, 문법 체계, 어휘 사용 등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국어와...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