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훈민정음 언해본2024.09.191. 서론 훈민정음이 한국 문화의 가장 자랑스러운 보배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실용적이고도 과학적인 제자 원리와 그에 담겨 있는 심오한 언어철학은 세계 문자 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것은 세종 25년(1443) 12월의 일이다. 이에 관한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102, 세종 25년 계해(癸亥) 12월조에 실려 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도 우리말을 표기한 고유 문자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그것은 옛 문헌에 끼어 있는 편언들로서 과학적 ...2024.09.19
-
중앙대 생활한자2024.10.101. 서론 1.1. 문제제기 인간은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려는 본성이 있다. 우리가 언어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도 가능한 한, 쉽고 편리한 문자를 생활에 이용하고자 하는 습성이 있다. 우리의 국자(國字)생활에 있어서도 한자보다는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 힘이 덜 들고 편리한 것처럼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획수가 많고 복잡한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왜 그런 것일까? 한자와 한문을 반드시 배워서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 한자, 한문 교육을 두고 논란이 매우 뜨겁다. 이는 작금의 일이 아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제기되었던 문제...2024.10.10
-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동안 한문으로 쓰여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후에 한글 문학이 주류를 이루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2024.09.231. 서론 한국에서 한자가 받아들여진 후, 보통 이두라 불리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이두, 향가, 향찰, 구결, 속자 등 다양한 방법이 불려졌다. 이두는 삼국시대에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한글을 표기하는 표기법으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에는 하급 관리들이 공문서나 공문서에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보통 이두를 넓은 의미로 차용해 음표로 표시한 한자를 통칭하는데, 현재의 일본어 역시 이두와 비슷한 개념의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두는 신라 초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서동요, 제망매가 등 다양한 문학작품이 이두로 ...2024.09.23
-
생활한문2024.11.051. 한자의 부수와 의미 1.1. 부수의 의미 구분 및 관련 한자 찾기 부수란 복합한자에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한자의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한자의 기본적인 형태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이러한 부수는 한자의 부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수의 의미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는 것은 한자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첫 번째로, '尸/戶' 부수를 살펴보면 '尸'는 주검, 시체를 뜻하며 '戶'는 문, 집을 뜻한다. 이 부수들이 포함된 한자로는 '屍(주검 시)', '居(살 거)' 등이 있다. 두 번째로, '厂/广' 부수...2024.11.05
-
육서2024.10.181. 한자의 구조와 육서 1.1. 한자의 구조 한자의 구조는 문자학 연구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한자 문자는 형태와 의미 및 발음을 모두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그 구조가 매우 정교하다"" 한자의 구조는 크게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의 육서(六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형문자는 실제 사물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으로, 가장 초기의 한자 형성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해와 달을 본뜬 일(日...2024.10.18
-
육서2024.10.181. 서론 중국어라는 언어를 이루고 있는 문자, 즉 한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한자와 독음과 일부 한자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기조를 같이 하고 있으며 그 형성과 구조의 기원은 동일하다. 한자는 우리의 언어의 상당한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고유 문자가 없던 우리 조상들은 일찍이 삼국 시대 이전부터 한자를 빌려 문자 생활을 영위해 왔다. 한글 창제 이전은 물론 그 이후에도 한자는 우리 조상들이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며 자신의 체험을 기록하는 문자 생활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우리들이 우리 조상들...2024.10.18
-
한자2024.08.151. 서론 1.1. 한자의 역사와 기원 한자의 역사와 기원은 중국 황하 문명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상고시대인 기원전 2674년경에 나라의 역사를 기록하던 사관 창힐이 새의 발자국을 보고 한자를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복희와 주양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도 전해진다. 하지만 문자는 한 사람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다듬어지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 더 타당하다. 한자는 중국 황하 유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5,000년 전에 만들어졌다. 한자의 기원은 갑골문자에서 시작되었다고 한...2024.08.15
-
한문 교과 세특2024.11.101. 한문 수업 활동과 과제 1.1. 한자의 원리와 활용 1.1.1. 한자의 3요소와 부수 한자의 3요소와 부수는 다음과 같다. 한자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획, 둘째, 한자의 뜻을 결정짓는 부수, 셋째, 한자의 발음을 나타내는 성부이다. 먼저 획은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선의 단위로, 한자 1자에는 약 5~20개의 획이 포함되어 있다. 획의 종류에는 가로획, 세로획, 점획, 횡획, 사선획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본 획들이 조합되어 복잡한 한자 모양을 형성한다....2024.11.10
-
오늘날 사회문성 획보2024.08.131. 한자의 장단점 1.1. 표의문자로서의 한자 표의문자로서의 한자는 하나의 기호가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 유형이다. 수메르인의 설형문자, 이집트의 상형문자와 함께 한자 또한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상형문자의 특징은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기호로 엄격한 발음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상형문자는 단어의 의미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부호나 여러 개의 부호를 조합하여 언어 속의 단어나 요소를 표현했다. 이 부호는 고대 문자에서 마치 그림처럼 보였다. 따라서 표의문자는 음절 문자, 음소 문자에 없는 초 방언적 기능을 가지고 ...2024.08.13
-
자음 체계의 변천2024.12.041. 언어의 변천과 표기법 1.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1. 향찰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의 한 방식이다. 향찰에서는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적지...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