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사진사와 미학2024.09.261. 사진의 개념과 발전 1.1. 사진의 정의 사진은 "빛이나 전자기적 발광을 이용하여 감광성 재료 또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맺힌 사물의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다. 즉, 빛의 도움을 받아 실제 사물의 모습을 포착하고 이를 영구적인 형태로 보존할 수 있게 해주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1.2. 사진의 역사적 기원 사진의 역사적 기원은 14세기 초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용한 카메라 옵스큐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안쪽을 어둡게 만든 상자나 방 한편에 작은 구멍을 뚫어놓고 바깥에서 어두운 쪽으로 들어오는 빛을 통해 상을...2024.09.26
-
사진사와 미학2024.09.29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쟁, 독재의 과정을 모두 겪은 한국 근대사...2024.09.29
-
사진사와미학 22024.11.26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기원 1.1.1. 최초의 사진 기록 한국에서 최초로 사진이 촬영된 것은 1863년 조선 연행사 일행이 북경에 갔을 때의 일이다. 이들은 당시 러시아 공사관 사진관에서 여섯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이것이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2008년 새로이 발견된 사진 기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전에는 1997년 발견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선 갑판에서 촬영된 세 장의 조선인 사진이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863년 연행사 일행...2024.11.26
-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26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기원 한국 사진의 기원은 1860년대와 18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도입된 시기는 문헌상으로 1863년이다. 당시 북경의 러시아관에 파견된 연행사절단의 정사 이의익이 초상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때 "사진"이라는 용어가 『연행일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서양에서 사진을 "빛으로 그린다"는 의미의 "photography"라고 명명한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다"는 의미의 "사진(寫眞)"이라는 용어가 탄생...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