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자음 모음 특징 설명 한국어 자음 모음 분류 기준 기술2025.03.131. 서론 한국어에서 자음과 모음의 분류는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다. 자음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기류가 방해를 받으며 만들어지는 소리이고, 모음은 그렇지 않은 소리이다. 자음은 음절의 핵을 이루지 못하지만 모음은 음절의 핵을 이룰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의 명칭은 조음에 중요한 변수인 음성적 특징에 기반하여 붙여진다. 자음의 경우 조음 방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이 주요한 변수이고, 모음의 경우 입술 모양과 혀의 전후, 혀의 높낮이가 주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명칭은 각각의 변수들을...2025.03.13
-
조선대 일본어2024.09.19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1.1. 자음 발음의 어려움 1.1.1. 평음과 경음, 격음의 오류 한국어 자음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자음이 무성음이며, 장애음은 평음과 경음, 격음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이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 나뉘는 영어, 일본어와는 다른 양상이다. 따라서 영어와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유성음을 배제하고 무성음으로만 자음을 발음하는 것이 어렵다. 이들 언어권의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토끼, 도끼, 토기" 혹은 "불, 뿔, 풀"을 모두 같게 발음하거나,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발음하는 것을 똑같...2024.09.19
-
비음 유음 장애음 마찰음의 발음교육방안과 활동유형2024.10.011. 한국어 자모의 소리 나는 방식과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1.1. 한국어 자음의 체계 1.1.1. 자음과 모음의 특성 자음과 모음은 사람들의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소리로, 낱말의 뜻을 구별하는 음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음은 공기가 폐에서부터 입 밖으로 나올 때 장애를 받는 소리인 반면, 모음은 공기가 폐로부터 나와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음성적인 면에서 공기의 흐름에 장애 유무의 차이가 있다"". 모음은 독립적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반면 자음은 독립적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다"". 모음은 자음 없이 ...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