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디카시집 영감과2024.09.111. 김종회의 저서 「디카시, 이렇게 읽고 쓴다」 비평 1.1. 서론 디카시라는 장르는 출발한지 햇수로 30년이 되었지만, 대중들에게 '디카시'라는 용어는 여전히 낮설다. 그렇지만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처럼 사진과 짧은 글이 동시에 올라올 수 있는 SNS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우리는 모두 디카시짓기에 발을 들인 셈이다. 광화문 교보문고에 매 분기별로 짧지만 인상적인 싯구가 걸린다. 그 중에서도 설문조사를 통해 1위로 꼽힌 시가 나태주 시인의 「풀꽃」이라고 한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이게 시...2024.09.11
-
번안2024.10.041. 번안의 의미와 특징 1.1. 번안의 정의와 개념 번안(飜案)은 외국의 문학 작품이나 내용을 자국의 언어나 문화적 맥락에 맞게 변형하여 새롭게 재구성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원작의 주제나 스토리라인을 유지하면서도, 해당 국가의 문화, 사회적 배경, 언어적 특성 등을 반영하여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이다. 번안은 단순한 번역과 달리, 원작의 의미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원작이 지닌 이야기를 자국의 독자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재해석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번안 작업은 한 나라의 문학 발전에 ...2024.10.04
-
한국문학에서 자연이 주는 의미2024.10.221. 서론 한국문학은 구비문학에서 시작이 되었다. 문학의 기본 요건이 글이 아닌 말이므로, 구비문학이 문학이고 한국의 구비문학이 한국문학이다. 한국문학은 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국문학사는 이 세 가지 문학이 서로 관련을 맺으며 성장해 왔다. 이에 학습자 본인은 한국 문학의 특질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문학의 특질이 잘 드러나는 문학작품을 선정해 본인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 문학의 특질이 무엇인지 서술하고자 한다. 2. 한국 문학의 특질 2.1. 시가의 율격 한국 시가의 율격은 정형시라 해도 한 음...2024.10.22
-
바리공주를 읽고 느낀점 및 분석2024.09.281. 구비문학의 이해 1.1. 바리데기 신화 바리데기 신화는 불라국의 오구대왕과 길대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딸 중 마지막으로 태어난 딸인 바리 공주의 이야기이다. 불라국의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은 태평성대를 누리며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이 유일한 걱정이었다. 그러던 중 늦게나마 일곱 딸을 얻게 되지만,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오구대왕은 마지막 딸 바리를 버리고자 했다. 하지만 바리는 흰 새의 도움으로 살아남게 되고, 자신을 버린 부모를 구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겪으며 모험에 나선다. 끝내 바리는 ...2024.09.28
-
"한글 창제 이후 한문 문학 주류 원인 분석2024.09.261. 서론 1.1. 한국문학의 정의와 범위 한국문학이란 한국인(주체)이 한국의 언어로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내용)을 예술적 형상(형식)으로 나타낸 문학을 말한다. 이 한국문학의 정의 안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한문학은 우리 민족이 창조한 문학으로 논란의 여지가 없고 과거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였다는 점에서 한국문학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국문학의 범위는 이런 이중적 언어생활과 한국문학의 특수성 안에서 국문학은 3단계로 이루어졌음을 알아야 한다. 그 3단계는 구술언어시대, 이중언어시대, 언문일치시대이다. 구술언어시대는...2024.09.26
-
동양문학의 이해2024.12.171. 동양문학의 이해 1.1. 한국의 정형시 한국의 정형시는 6세기경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향가에서 출발한다" 고려시대의 경기체가와 고려가요,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로 이어지며 발전했다" 다양한 형식의 정형시가가 존재했고 시의 형식이 점점 짧아졌으며, 가장 짧은 시 형식인 시조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정형시로 자리잡았다" 시조는 현재에도 꾸준히 창작되고 있어 한국의 정형시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조는 중국의 근체시나 일본의 하이쿠에 비해 형식적 제약이 적은 편이다" 압운이나 사성과 관련된 규율이 없으며 시의 흐름과...2024.12.17
-
세계사, 논문 2편 이상 참고2024.11.231. 소설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 100년 1.1. '소설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 100년'을 통해 보는 현대문학 일대기 예술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자, 동시대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수단이었다. 현대문학은 근대 문학이 세워진 토대와 그 성장을 이어받아 문화적 억압을 지나 '한국스러운' 문학의 개화와 시대성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이 책 『소설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 100년』은 한국 문학이 걸어온 길을 보여주고 있다. 책의 차례에는 한국의 의무교육 과정을 이수한 사람이라면 익숙한 이름이 많이 등장한다. 이광수, 염상섭,...2024.11.23
-
번안소설 및 1910년대 주요 작가와 멜로드라마 형식 연구2024.10.111. 번안의 의미와 특징 1.1. 번안의 정의와 특징 번안은 원작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맥락이나 언어, 문화적 특성에 맞게 재해석하거나 변형하는 창작 방식을 의미한다. 번안은 원작의 주제나 줄거리를 유지하면서도 번역과 각색을 통해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작업이다. 번안은 단순한 번역과 달리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작품이 향유될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이야기를 재구성하거나 등장인물, 배경 등을 수정하여 독자에게 새로운 감동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번안의 과정에서는 원작의 의도와 분위기를 ...2024.10.11
-
국어국문학과 한국문학 번안소설 작가와 작품2024.10.111. 번안 소설과 한국 문학의 근대화 1.1. 번안의 의미와 특징 '번안'은 외국 문학 작품을 단순히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내용과 구조를 해당 국가의 문화적 정서와 사회적 현실에 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즉, 번안은 원작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되, 현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인물, 배경, 사건 등을 변형하는 창조적인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번안은 원작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현지화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작품을 창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식민지 시대의 한국에서...2024.10.11
-
기점론 이행기론2024.08.261. 서론 1.1. 한국문학의 특징과 현대문학의 중요성 한국문학은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한국어와 한글로 표현한 문학으로, 한의 정서, 해학과 풍자의 미학, 조화와 풍류의 정신, 선비 기질과 지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민족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 곳곳에 퍼져있어 대중들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도 한국문학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한국문학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며, 자연친화적인 특질을 가지고 있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즐겨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해학과...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