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사회복지사 외 제3의 변수2024.09.171. 서론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과 진로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과가 단순히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에만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외부 요인, 즉 제3의 변수에 의한 영향도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제3의 변수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나 개인적 특성에 의해 프로그램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프로그램이 미친 긍정적 변화의 가능성 있는 제3의 변수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수들이 어떻게 작용했을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2. 학업중단 청소...2024.09.17
-
청소년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개념2024.12.211. 청소년의 학업중단과 학교폭력 1.1. 학업중단 청소년과 학교폭력의 개념 1.1.1. 학업중단 청소년 '학업중단 청소년'은 정규학교의 교육과정을 마치지 못한 상태로 자퇴나 퇴학, 면제, 유예의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이를 지칭한다. 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한다거나, 중·고등학교 또는 이와 동등한 과정에 대해 교육을 하는 학교에 진학하지 아니한 청소년을 모두 포함을 하는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다. '학업중단 청소년'은 2015년 이후에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련한 법률이 제정이 됨에 따라 여성가족부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2024.12.21
-
진로지도사2024.08.141. 서론 1.1. 배경과 필요성 우리는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로봇기술, 드론, 자율 주행차, 가상 현실(VR) 등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많은 직업이 사라지기도 하고 또 생성되기도 하는 변화 무쌍한 시대에 우리의 청소년들은 과연 미래에 대해 얼마나 많은 생각과 고민을 가지고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2016년 우리나라 이세돌과 알파고(인공지능)의 바둑대결은 4차 산업혁명 시작을 알려주는 사건이었다. 인공지능의 등장은 사람들의 미래에 큰 이슈를 불러왔고,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람의 일...2024.08.14
-
17~18세의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성 향상과 진로지도 등을 목적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 사회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하였고 진로탐색에 대한 구체성도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프로그램이라는 개입 변수 외에 제3의 변수에 해당하는 외부 요인이 이러한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어떤 것이 이러한 제3의 변수에 해당할지 그 가능성에 대하여 토론2025.01.251. 가족복지론 1.1. 현대사회의 가족 기능 현대사회에서 가족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첫째, 성적욕구 충족 및 통제의 기능은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부부 간의 관계를 통해 충족되며, 이는 가족이 영속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다. 둘째, 자녀출산, 양육, 사회화의 기능은 가족이 사회에 새로운 인력을 공급하고 이들을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키워내는 역할을 한다. 셋째, 돌봄의 기능은 가족 내에서 취약한 구성원들을 보살피고 지원하는 것으로, 이는 가족의 중요한 책임 중 하나이다. 넷째, 경제적 기능은 가족 내에서 자원을 효율적...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