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2개
-
언어교수 이론의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버을 구체화하여 제시해 봅시다2024.09.161.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1. 모국어습득이론과 외국어교수의 관계 1.1.1. 언어습득과 언어학습의 차이 습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학습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모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는 단어의 발음 차이를 동시에 지각하여 구분하지만 외국어 습득에서는 그 의미를 이해하는 학습 과정을 필요로 한다. 우리의 모국어는 한국어이다. 모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한 우리가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면 그 바탕에는 한국어가 깔려있다. 생소한 단어를 익혀 나갈 때 본능적으로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나라 말...2024.09.16
-
한국어 교재를 만들때 중요한것은2024.09.161. 서론 한국어를 배우기로 결정한 학습자들이 처음으로 하는 일은 무엇일까? 아마도 서점에 가서 한국어 교재를 찾아보는 일로 학습의 첫 단계를 내딛을 것이다. 이는 언어 학습에서 교재를 선택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며 매우 중요한 일임을 보여준다. 교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목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주는 도구이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간의 소통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며 학습 목표와 교육 방향을 제시하여 교실에서 진행되는 교수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특히 한국어는 복잡한 언어 체계와 다양한 어조, 문법적 특징...2024.09.16
-
언어 교재의 개념2024.09.161. 한국어 교재 개발의 이해 1.1.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특징 한국어 교재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돕기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된 학습 자료이다.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준과 요구에 맞추어 구성된다. 학습자의 모국어, 문화적 배경, 연령, 관심사, 학습 목적 등에 따라 교재의 내용과 구성, 제시 방식 등이 다르게 구현된다. 예를 들어 아동 학습자와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는 삽화와 주제, 문법과 어휘의 수준 등이 다르게 구성된다. 둘째, 한국어...2024.09.16
-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2024.09.151.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 1.1. 19세기 이전 1.1.1. Herbart의 교육사상 Herbart는 처음으로 심리학을 교육에 응용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1806년에 출판한 "일반 교육학"이라는 저서에서 윤리학과 심리학을 교육의 기초학과라고 주장하고 윤리학에서 교육의 목적을, 심리학에서 교육방법의 원리를 구하고자 하였다. Herbart 시대에는 근대 심리학이 성립하기 이전이었지만 그는 교육이 아동심성의 발달법칙에 따르지 않으면 순조로운 교육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Herbart는 교육은 어디까지나 심리학에 기초를...2024.09.15
-
한국어 의사소통 4대 영역 통합교재 선정 근거2024.09.191. 서론 언어 교육에서 기본적인 3요소는 교사(teacher), 학습자(learner) 그리고 교재(materials)이다. 이 중에서 교재란 교육을 '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가르치는 행위'로 볼 때 바로 이 '무엇'을 담고 있는 총체물이다. 이러한 교재를 넓게 말한다면 교육과정에서 동원되는 모든 입력물(input materials)이 교재가 된다. 교과서류, 부교재류는 물론 학습자를 둘러싸고 있는 교사의 언어, 가정과 이웃의 언어, 방송, 광고 등의 언어 내용이 모두 이에 속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교재를 좁게 말한다면 학생들이 ...2024.09.19
-
명문장으로 영어 배우기2024.09.211. 외국어 말하기 학습 경험 1.1. 영어 학습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 1.1.1. 발음의 어려움 외국어를 배울 때 발음의 어려움은 흔한 문제이다. 모국어와 다른 발음체계를 익히는 것은 성인 학습자들에게 큰 도전이 된다. 성인의 뇌는 이미 모국어 중심으로 언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발음을 구체화하여 구사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영어의 경우 한국어에는 없는 자음 [f], [r], [v], [z] 등의 발음이 대표적인 어려움을 주는데, 한국어 모음이나 자음 체계로는 이러한 발음을 정확히 구현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영어의...2024.09.21
-
원격교육 프로그램 교과목 기획서 작성2024.09.221. 서론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고, 국내에서도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면서 정부는 감염 예방하기 위해 초·중·고·대학교의 개학을 연기하게 되었다. 감염병 상황에 따라 대면수업 일정을 수시로 변경하였고 결국에는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학습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전 국민이 실시간 온라인교육방식의 원격교육에 대해 알게 되었다. 원격교육은 교사와 학습자가 대면하지 않고, 교재나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교수학습활동을 하는 형태의 교육이다. 과거에는 우편, 라디오, 텔레비전을 매체로 활용하여 원격교육을 하였지만, 인터넷기술의...2024.09.22
-
KSL 교육2024.09.231. 한국어 교육과정 개관 1.1.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특징 1.1.1. 한국어 교육 대상자의 명시적 제시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KSL)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대상자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였다. 교육 대상자로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 및 중도입국자녀,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이주민 등이 포함된다. 이전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중심이었던 데 비해,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일상생활 한국어 학습자인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에...2024.09.23
-
교재 수정 이유와 방법, 효과적 발음 교육 방안2024.09.301. 교재 수정의 필요성과 방법 1.1. 교재 수정의 필요성 1.1.1. 학습자 특성에 맞지 않은 내용 교재에 수록된 내용이 학습자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교재에 제시된 문법이나 어휘, 듣기·읽기 자료의 수준이 학습자의 수준과 거리가 멀거나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사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교재에 포함된 문화적 요소나 주제가 학습자의 배경지식이나 관심사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한 교재 내용은 학습 동기 저하, 이해력 저하, 실제 언어 사용 능력 향...2024.09.30
-
평생교육실습일지 생활스포츠지도사2024.09.261. 평생교육실습일지 1.1. 실습생 서약서 본인은 평생교육실습 과정을 이수함에 있어 귀 기관의 제반 규칙 및 실습생 준수사항을 엄수할 것을 서약한다. 실습생은 기관에서 제공하는 규정과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며, 실습기관의 업무와 규율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을 약속한다. 이에 실습생으로서 모든 행동과 태도에 책임감을 가지고 전문성과 성실성을 발휘하여 실습 과정에 임할 것이다. 1.2. 실습기관현황 00장애인평생교육센터는 00시 00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화번호는 00-000-0000이다. 이 센터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평생교육을 실...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