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사와 민족의 발전2024.09.141. 한국 근대사학사와 민족사학의 발전 1.1. 한말의 역사학 연구 동향 조선 말기에 새로운 역사학이 태동되는 배경의 하나로서 주목해야 할 것은, 뒷날 식민주의 역사학으로 발전하는 일본인 학자들의 한국사 연구이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연구는 이미 근대 이전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부터 이른바 국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古事記』, 『日本書紀』 등 일본의 고전을 연구하여 일본을 신국(神國)으로 규정하면서, 과거 일본의 신이나 왕이 한국의 고대국가를 지배했고, 한국의 왕족과 귀족들이 일본에 복속했다는 등 한국...2024.09.14
-
4.192024.10.141. 서론 2023년 5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는 4.19혁명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4.19혁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유네스코는 4.19 혁명 기록물을 독재에 맞서 비폭력으로 민주주의를 이뤄낸 역사적인 유산이라고 평가했다. 4.19혁명 기록물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채택된 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중 가장 최근에 등재된 것이며, 동시에 광복 이후 일어난 가장 오래된 민주주의 운동 중 하나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2. ...2024.10.14
-
6•10 만세운동2024.09.271. 6·10 만세 운동 개요 1.1. 6·10 만세 운동의 개념 6·10 만세 운동의 개념은 1926년 6월 10일 조선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李拓)의 국장일을 기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이다. 이는 병인만세사건(丙寅萬歲事件)이라고도 불린다. 순종이 사망하자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조선 민중들의 반일감정이 급격히 고양되었다. 1920년대 중반 들어 조선인들은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 통치와 경제적 수탈에 맞서 광범위한 투쟁을 전개하고 있었다. 순종의 국장일을 계기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등 사회주의 계열의 조직들이 주도하여 전국적 규...2024.09.27
-
4.192024.11.101. 서론 2. 4.19혁명의 개념과 배경 2.1. 4.19혁명의 명칭과 배경 19혁명은 1960년 4월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의 독재에 반대하여 시민들이 일으킨 대규모 민주화 운동이었다. 이는 1960년 3월 15일에 자행된 정부 주도의 부정선거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으며, 주축이 된 세력은 대학생들이었다. 이 혁명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4.19 혁명", "4.19 민주혁명", "4.19 학생운동", "4.19 의거" 등이 대표적이다. 이 혁명의 배경에는 12년간 장기 집권을 해온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적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