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개
-
기능적 가족 특징과 가정 분석2024.09.111. 기능적인 가족의 의미 1.1. 가족 기능과 특성 가족 기능과 특성은 기능적인 가족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족은 개인의 물리적, 정서적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중요한 체계이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역할 수행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족의 주요 기능으로는 첫째, 보호와 양육 기능이다. 가족은 구성원들을 보호하고 양육함으로써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둘째, 사회화 기능이다. 가족은 구성원들이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가치관, 규범, 행동양식 등을 전수한다. 셋째, 정서적 지지 ...2024.09.11
-
가족치료 모델 중 1개의 모델을 선택하여 자신의 가족을 사정하시오2024.09.151. 가족치료모델의 개념 및 특징 1.1. 가족치료모델의 정의 가족치료모델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 방식, 가족 구성원들의 개인적 특성, 가족이 위치한 사회 문화적 맥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족의 문제 해결과 성장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신건강치료 방법이다. 이 모델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각자의 역할, 관계, 감정, 인식 등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각각의 개인적인 문제를 함께 다루며, 가족 전체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술 및 대처 전략을 학습한다...2024.09.15
-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의 배경2024.09.291.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발달과 개요 1.1.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배경 미누친은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서 성장했다. 그는 이스라엘 군대에서 내과의사로 복무했고, 이후 아동정신과 의사로서의 교육을 받기 위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왔다. 미국에서 훈련과 연구를 마친 미누친은 1952년에 버려진 아이들과 일하기 위해 이스라엘로 돌아갔으며, 그곳에서 가족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깨닫게 되었다. 이후 1954년에 다시 정신분석 훈련을 받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1950년대 말에 미누친은 아동시설에서 가족을 면담하기 시작했으며,...2024.09.29
-
도로시존슨2024.10.021. 도로시 존슨의 행동체계모델 1.1. 이론가 소개 도로시 존슨은 1919년 8월 21일 조지아주 사바나에서 태어났다. 1937년 조지아주 사바나 암스트롱 전문대학에서 전문학사학위를, 1942년 테네시, 네슈빌에 있는 밴더빌트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1948년 보스턴에 있는 하버드대학교에서 보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존슨은 전문가로서의 대부분의 경력을 교육에 종사하였는데 1943년에서 1944년까지는 Chatham-Savannah Health Council에서 간호사로 근무하였다. 그리고 밴더빌트 간호대학에서 아동간호학 ...2024.10.02
-
도로시존슨 행동체계이론과 적용2024.10.021. 도로시 존슨과 행동체계이론 1.1. 이론가 소개 도로시 존슨은 1919년 8월 21일 조지아주 사바나에서 출생하였다. 그녀는 1937년 조지아주 사바나 암스트롱 전문대학에서 전문학사학위 A.A.를, 1942년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학사학위 B.S.N.를 받았으며, 1948년 보스턴 하버드 대학교에서 보건학 석사학위 M.P.H.를 수여하였다. 존슨은 전문가로서의 대부분의 경력을 교육 분야에서 종사하였다. 1943년에서 1944년까지는 Chatham-Savannah Health Council에서 간호사로 근무하였고, 이후 밴더빌...2024.10.02
-
행동체계이론2024.10.021. 체계이론과 행동체계이론 1.1. 체계 행동규칙과 체계 내의 긴장상태 1.1.1. 체계 행동규칙 모든 살아 있는 체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복적인 상호작용 패턴을 발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 상호작용 패턴을 체계 행동규칙(system rules)이라고 한다. 이것은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체계들 간의 반복적, 일상적 상호작용 행위를 말하는데 모든 사람이 인식하고 이해하는 명시적인 규칙이기보다는 암묵적이고, 불문적인 규칙이다. 이 규칙은 간접적으로 표현 또는 유추되고, 오랜 시간을 두고 되풀이하며 외부의 특별한 간섭이...2024.10.02
-
가족신화에대해서술하고나의가족이공유하고있는가족신화2024.10.311. 체계로서의 가족 1.1. 체계로서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 인간은 여러 개의 하위체계로 구성된 살아 있는 체계이며, 개인은 각각의 하위체계를 구성하는 동시에 보다 큰 체계에 속해 있다. 가족 역시 전체 확대가족의 한 부분이고, 확대가족은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한 요소이며, 이러한 지역사회가 모여서 시·군·구가 되고 국가가 된다. 이처럼 가족은 더 큰 체계의 한 요소이며 많은 다양한 체계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유지·발전된다고 볼 수 있다. 가족은 다양한 체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부하위체계, 형제하위체계, 부-녀 하위체계, ...2024.10.31
-
생태체계적 관점 52024.10.311. 가족사정의 개념과 생태체계적 관점 1.1. 가족사정의 개념 가족사정의 개념은 우리가 가족이라고 부르는 집단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는 단순히 같은 주소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집합체로서 머무르지 않고, 그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둘러싼 복잡한 네트워크로 해석되어야 한다. 가족사정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 지지, 그리고 상호 의존성을 포함한다. 가족은 서로에게 지지를 주고 받는 곳이며,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들 간의 의사소통은 단순히 말을 주고 받는 것 이상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2024.10.31
-
질병과의료사회복지관계2024.11.011. 서론 사람이나 그들이 가진 문제는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더 넓은 상호작용적 체계 속에 얽혀있다. 그 체계 중 가장 근본적인 것은 가족으로서, 가족은 사람이 속해 있는 일차적이며 가장 강력한 체계라 볼 수 있다. 가족의 각 성원의 체계에 대한 적응 노력은 체계의 여러 수준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생리적 수준에서부터 심리적 수준 더 나아가 사회적 수준에까지 이른다. 사회적이라는 것도 핵가족부터 확대가족, 지역사회, 문화, 그 이상의 여러 수준이 있다. 사람들은 세대, 연령, 성 등의 가장 일반적인 요인에 의해 가족체계 내에서...2024.11.01
-
가족치료이론2024.10.231. 가족치료 이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1.1.1. 주요 개념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에서 '자아분화'는 사고와 감정을 분리하여 자신과 타인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며, 한 가족의 정서적 혼란으로부터 자신이 자유로워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개인의 자아분화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의 정서적 혼란으로부터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반면 자아분화 정도가 낮은 경우 가족의 정서적 혼란에 큰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과도한 정서적 융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자아분화는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에서 핵...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