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하악골 수술2024.09.161. 하악골 ORIF (골절 수술) 1.1. 하악골 해부학 1.1.1. 하악골 외부 표면 하악골의 외부 표면은 다양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하악골의 양쪽이 만나는 중앙부위인 정중부(symphysis menti)가 있다. 정중부는 성인에서 뼈가 융합되어 있으며, 정중부 바로 아래에는 턱 끝(mentum)이 위치한다. 정중부의 양 옆으로는 하악체(body of mandible)가 있다. 하악체 상부에는 치조돌기(alveolar process)가 있어 아래 치아를 지지하며, 하악체 하부는 하악골의 가장 두꺼운 부위인 기저...2024.09.16
-
구강해부학2024.09.131. 구강 및 두경부 해부와 생리 1.1. 두개골의 구조와 기능 1.1.1. 뇌두개골 뇌두개골은 두개골의 일부로, 신경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뇌두개골은 두정골, 측두골, 전두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등 6종류의 8개 골로 구성되어 있다. 두정골은 두뇌를 덮는 가장 넓은 부분으로, 두개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측두골은 귀 주변 부위에 위치하며, 내이와 중이를 포함한다. 전두골은 이마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안와와 접두골을 포함한다. 후두골은 뒤통수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목뿌리 부분과 연결된다. 접형골은 ...2024.09.13
-
악교정수술2024.10.011. 악교정 수술의 정의와 특징 1.1. 악교정 수술의 정의 악교정 수술이란 구강악안면 기형을 수술로 치료하여 개선해 주는 것을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어원상 "악골계"를 "외과적 치료방법"을 이용하여 "교정한다, 고쳐준다"는 뜻을 지닌 단어들의 복합 용어이다. 즉, 구체적으로는 비정상적인 기형 상태의 구강악안면계를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개선시켜 정상으로 회복시켜 준다는 뜻이다. 이는 선천성 또는 발육성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구강악안면 기형증의 치료를 위한 수술이다. 악골이 비정상적으로 발육함에 따라 악골 간의 공간적 조화...2024.10.01
-
악교정 수술의 종류2024.10.011. 악교정 수술 1.1. 수술의 정의 및 필요성 악교정 수술은 악안면부의 골격구조와 치열의 부조화를 개선하여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수술이다. 안면부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작장애, 발음장애, 심미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는데, 특히 부정교합, 골격성 안면변형, 턱 돌출증 등의 경우 악교정 수술이 필요하다. 즉, 악안면 부조화에 대한 성공적인 악교정 치료는 교정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대한 적절한 확인과 식별이 필수적이다. 한 개인에게 어떠한 악안면 형태가 가장 균형을 이룬다고 정의하기란 어렵지만,...2024.10.01
-
치위생 해부학 정리2024.08.301. 구강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잘라서 단면을 관찰하는 것이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수직적으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수직적으로 나누는 절단면이며,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몸이나 머리를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은 몸의 정중면과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외측(가쪽)은 몸의 정중면과 먼 쪽을 의미한다. 근위(몸쪽)는 부착된 ...2024.08.30
-
치위생해부학2024.08.30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절단했을 때 나타나는 면으로,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 절단면이다. 횡단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1...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