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범죄심리학2024.11.201. 범죄영화에 나타난 트라우마 1.1. 트라우마의 정의 트라우마는 개인의 대처 능력을 압도하는 괴로운 사건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 정의된다. 범죄 관련 트라우마는 개인이 폭력을 경험하거나 범죄의 피해자일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라우마는 플래시백, 악몽, 그리고 개인에게 트라우마 사건을 상기시키는 상황 회피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범죄와 관련된 트라우마의 피해자들은 또한 불안, 우울증, 약물 남용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1.2. 범죄영화 속 피해자 트라우마의 사례 및 삶에 미친 영향 범죄영화 ...2024.11.20
-
구로사와 아키라2024.09.061. 들어가며 본 페이퍼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라쇼몽』의 영화사적 의미를 확인하고, 이 영화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라쇼몽』은 1951년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저명한 영화로서, 이는 전 세계에 일본 영화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영화라 평가할 수 있다. 한 사건을 그대로 두고 여러 인물의 관점을 번갈아 가면서, '진실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진실이란 과연 존재할 수 있는지'에 관해 다루는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진실이라는 것이 인간의 주관성의 영역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함의를...2024.09.06
-
롱테이크 분석2025.04.021. 롱테이크 분석 1.1. 롱테이크 편집 기법 영화의 구체적 분석 첫 번째 편집점(11:42)은 불안해하는 필립을 앞에 두고, 아무 문제가 없을 거라 말하며 책을 들어 올리는 장면이다. 카메라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브랜든의 뒷모습을 담는다. 브랜든의 뒷모습만을 담아 짧은 순간 화면 전체가 블랙이 되는 씬이다. 이는 필름을 자연스럽게 편집할 수 있도록 의도한 구도이다. 두 번째 편집점(19:32)은 자넷이 파티에 들어오는 장면이다. 먼저 케네스와의 대화 후, 이어서 자넷을 반가워하며 다가가는 브랜든과 필립의 모습이 나...2025.04.02
-
롱테이크 분석2025.04.021. 롱테이크 분석 1.1. 영화의 롱테이크 기법 롱테이크 기법은 카메라가 한 번의 컷 없이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객은 인물의 행동과 감정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다. 롱테이크는 편집 없이 시간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영화에 사실감과 몰입감을 부여한다. 카메라는 인물의 움직임을 따라갈 뿐만 아니라, 정지된 상태에서 인물을 관찰하기도 한다. 이러한 롱테이크 기법은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 속 세계에 깊이 몰입하게 만들며, 인물의 내면 심리와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영화감독들은 롱테이크 기법을...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