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8개
-
독후감2024.11.221. 플라톤의 『국가』와 현대사회의 시사점 1.1. 플라톤의 정의론과 이상 국가 플라톤은 『국가』에서 정의의 개념을 깊이 탐구하며, 정의로운 사람과 정의로운 국가를 구별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정의는 각 계층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며, 국가 내의 계층 분화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플라톤은 국가를 통치자, 수호자, 생산자의 세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이 맡은 바 임무에 충실할 때 국가 전체가 정의로운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플라톤의 계층화된 사회 구조는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와 상반되는 부...2024.11.22
-
보이는세상은 실재가 아니다2024.11.101.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1.1. 들어가며 일상과 예술, 과학과 인간 정신을 모두 담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과학 교양서인 이 책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는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위대한 인류가 걸어온 미지의 영역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의 여정을 기록한 책이다. 저자인 카를로 로벨리는 이탈리아 태생의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로, 양자이론과 중력이론을 결합한 '루프양자중력'이라는 개념으로 블랙홀을 새롭게 규명한 우주론의 대가로, '제2의 스티븐 호킹'이라 평가받는다. 저자의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 역시 과학책...2024.11.10
-
국가론 1권의 트리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논쟁을 잘 정리해줘2024.11.251. 서론 플라톤(BC 427-347)의 저작들은 철학과 정치사상에 있어서 뿌리와도 같은 위상을 가진다. 당대의 철학자들은 자연 철학자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기원전 4~5세기에 이르러 소피스트가 등장한다. 그들은 변론술을 가르치는 사람들이었고, 소크라테스도 그들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는데, 다만 소크라테스는 가르침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소크라테스는 당시 펠로폰네소스 전쟁(B.C. 431-404)에 아테나이가 패배한 후 1년 간의 과두정을 거쳐 민주정의 시기에 이르러 사형을 언도받는다(B.C. 399). 당시...2024.11.25
-
국가론 크라시마코스 소크라테스2024.11.251.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 1.1.1. 『조선상고사』 (신채호)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단군조선부터 백제의 멸망과 부흥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사관과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한 저작이다""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시절 백두산을 비롯한 나라 곳곳을 다니며 이 책을 집필하였는데, 이는 역사를 통해 우리의 민족의식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조선상고사』의 핵심을 관통하는 문단은 "역사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적으로 전개되고 공...2024.11.25
-
국가론 1권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 정의2024.11.251. 플라톤의 생애와 저서 1.1. 플라톤의 생애 플라톤(Platon)은 기원전 5세기 후반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도시국가인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리스톤과 어머니 페리크티오네는 당시 정치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던 유력한 집안 출신이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플라톤의 관심은 현실정치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고, 동시에 문학에 대한 재능도 나타내어 시를 짓기도 하였다. 그러나 플라톤이 스무 살이 되었을 때,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면서 삶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아...2024.11.25
-
국가론 1권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 대화2024.11.251. 플라톤의 국가론 1.1. 플라톤의 생애 플라톤(Platon)은 기원전 428년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 도시국가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리스톤과 어머니 페리크티오네는 당시 정치적으로 유력한 집안 출신이었다. 자연스럽게 플라톤의 관심은 현실정치에 쏠려있었고, 한편으로는 문학적 재능도 보였다. 그러던 스무 살 무렵, 소크라테스를 만나면서 철학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밑에서 약 8년간 철학을 배웠다. 사람들이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던 소크라테스의 정신을 플라톤이 이어받았다...2024.11.25
-
철학의이해2024.08.301. 들어가는 말 1.1. 경건함에 대한 탐구 《에우튀프론》의 주요 내용 중 '1.1. 경건함에 대한 탐구'는 다음과 같다. 《에우튀프론》은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를 통해 "경건함"이라는 개념에 대한 탐구를 다루고 있다. 경건함은 그리스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데 핵심적인 주제였다. 에우튀프론은 자신이 아버지를 고발한 행동이 경건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에게 경건함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며, 그가 제시하는 정의에 대...2024.08.30
-
철학의이해2024.10.101. 철학의 이해 1.1. 철학적 사유와 방법론 철학적 사유와 방법론은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독특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철학은 이성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삶의 의미와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다양한 관점에서 이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이러한 철학적 사유는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근본적인 물음과 성찰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철학적 사유의 특징은 첫째, 세상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철학자들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물음을 던지며, 기존의 관념이나 가정...2024.10.10
-
아고라2024.11.091. 고대 그리스의 문화와 도시구조 1.1. 그리스 도시국가(폴리스)의 성립과 발전 그리스 도시국가(폴리스)의 성립과 발전은 고대 그리스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다. 청동기 시대의 그리스는 분리된 지형적 특징과 다양한 종족이 혼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대(大)국가를 형성하기보다는 소규모의 독립적인 도시국가들이 성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시국가들은 지역적으로 독립적이었지만 공통의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며 발전해 나갔다. 그리스의 도시국가는 원래 외적의 침략으로부터 주민들이 피신할 수 있도록 만든 성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2024.11.09
-
플라톤의 인간관은 인간을 진리로 탐구함으로써 참된직식에 도달할수 있는 능력을 가진자라고 보았다 이데아 참된인간 영혼 불멸 이성의 통제2024.10.091.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상과 교육관 1.1. 플라톤의 철학 1.1.1. 이데아론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플라톤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이다. 플라톤은 감각적 사물들로 구성된 가시적인 세계와 별도로 정신으로만 인식할 수 있는 이데아계가 객관적으로 실재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데아야말로 궁극적인 참된 실재라고 주장하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데아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사물의 본질적인 원형(原形)이다. 구체적인 현실의 사물은 단지 이데아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일시적인 속성을 지니...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