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음택과양택의 개념과 풍수이론2024.10.021. 풍수지리설 1.1. 풍수지리설의 개념 풍수지리설은 땅과 인간의 관계, 즉 산 · 물 · 방위 및 인간 4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만물이 기(氣)로 이루어졌다고 보아 만물 중의 하나인 땅도 지기(地氣)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지기에 대해 음양과 오행, 그리고 주역의 논리로 체계화한 것이 풍수지리설이다. 풍수지리설은 고대로부터 인간이 주거취락을 택하는 택지관념에 근원을 두고 있다. 그 후 국가가 성립되면서부터는 수도를 건설하고 지리적 조건을 고려하여 도로 · 군사 및 행정조직을 ...2024.10.02
-
한국중세사2024.12.161. 중세 불교건축 1.1. 불교사찰의 번성과 가람구성의 복합성 (10~12C) 1.1.1. 불교사찰의 번성 고려시대는 불교가 왕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계층을 초월하여 열성적으로 신봉되던 때였다. 특히 왕실과 귀족 지배계층의 불교에 대한 심취는 다른 어느 시대에 볼 수 없는 정도였다. 중앙 집권적인 왕권이 안정되고 있던 11세기는 그 절정이었다. 역대 왕들은 왕실의 기복을 위한 원찰을 계속 건립하였다. 개경 시내와 교외에는 이러한 왕실 원찰들로 가득하였다. 개경 주변의 왕실 원찰은 이미 10세기 중반부터 조성되기 시작했다....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