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발효식품학2024.09.221. 발효식품 김치 1.1. 김치의 특성 및 중요성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이다. 김치는 배추나 무 등의 식재료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을 섞어 발효시킨 발효식품으로,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균과 각종 유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김치는 맛, 영양 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이 탁월한 식품이다. 김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치는 한국인의 식사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어 한식의 대표적인 반찬이다. 김치는 마늘, 고춧가루, 젓갈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독특한 맛과 풍미를 내며, ...2024.09.22
-
막걸리가 만들어질때 효모의 역할2024.10.071. 사과당근막걸리 만들기 1.1. 실험이론 1.1.1. 누룩의 의의 누룩은 생 곡류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효고와 여기에 Rhizopus, Mucor, Abisidia속 등의 곰팡이와 효모 그리고 기타 균류가 번식하여 각종 효소를 생성하여 분비하고 있는 발효제이며 많은 효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술밑(주모)의 모체 역할을 겸한 발효제의 일종이다. 누룩을 사용하여 만든 약·탁주(막걸리)의 풍미는 독특한 향미가 있고, 술맛이 유순한 점 등의 여러가지 특성을 전통주이다. 1.1.2. 누룩의 품질 누룩의 품질은 누룩의 단면이 속까지 홍백색...2024.10.07
-
된장만들기2024.10.071. 된장 만들기 1.1. 된장의 종류 1.1.1. 전통식 된장 전통식 된장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일정 기간 발효시킨 다음, 생성된 액체는 간장으로, 불린 메주는 된장으로 다시 발효시켜 제조한다. 전통식 된장의 원료는 모두 콩이므로 콩 단백질의 분해로 생성된 펩티드 및 아미노산으로 감칠맛(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깔이 진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래식 된장은 옛적부터 각 가정에서 메주로 만드는 재래식 간장의 찌꺼기를 말한다. 메주로 만든 재래식 된장에는 막된장, 토장, 막장, 청국장을 가공한 담북장, 수분이 많은 즙장 등이 ...2024.10.07
-
간장 속 화학2024.10.211. 간장의 역사와 특성 1.1. 간장의 제조 과정 간장은 콩을 주 원료로 하여 발효와 숙성을 거쳐 제조되는 전통적인 한국의 조미식품이다. 간장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주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된다. 콩을 삶아 성형하여 햇볕에 노출시켜 자연발효시킨 메주는 간장 제조의 핵심 원료이다. 메주 제조 시 콩의 단백질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생성되고, 이 과정에서 간장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들이 만들어진다. 메주가 완성되면 소금물에 담가 숙성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일어난다. 주된 발효 ...2024.10.21
-
각 나라에 대표적인 발효빵에 대해서2024.10.091. 천연발효 빵의 이해 1.1. 천연발효 빵의 정의 천연발효 빵이란 천연발효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한 빵을 의미한다. 천연발효 빵은 인공적으로 제조한 이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에 존재하는 효모균을 모아 만든 발효종인 천연발효종을 이용해 만든 빵이다. 이스트는 1차 세계대전 무렵 독일에서 개발되었는데, 그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천연발효종을 활용하여 빵을 만들었다. 각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자생 효모균을 이용하여 러시아의 도로지종, 프랑스의 과실종, 독일의 샤와종, 북유럽의 호프종, 중국의 탕종, 일본의 주종 등 다양한...2024.10.09
-
나라별 천연 발효빵 조사2024.10.091. 발효빵과 천연발효종 1.1. 발효빵의 정의와 특징 발효는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발효를 통해 빵의 고유한 특징이 만들어지며, 이스트와 천연 발효종 등의 팽창제의 작용이 중요하다. 이러한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발효 현상은 물과 밀가루에 팽창제를 넣고 적절한 온습도가 갖춰진 환경에 두었을 때 일어난다. 초기 인류가 곡물을 가지고 무발효빵을 만들어 먹다가 이집트의 발효 기술이 접목되어 로마에 전파되었고, 19세기 프랑스의 파스퇴르가 효모를 배양할 수 있는 이스트를 만들면서부터 발효빵이 널리 알...2024.10.09
-
뼈없는닭갈비2024.11.241. 동물성 식품의 조리 시 변화 1.1. 어패류 및 가금류 1.1.1. 어패류의 특성과 조리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어종이 많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어패류로 동물성단백질의 70% 이상을 섭취하고 있어, 양질의 단백질 급원이 되고 있다. 어패류는 크게 어류, 패류 및 연체류, 갑각류로 구분할 수 있다. 어패류는 독특한 취기와 맛을 지니고 있으며, 어취는 어체의 근육 중의 수분과 혈액 중에 존재하며 신선한 생선 특유의 냄새와 선도 저하에 의한 불쾌한 어취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후 1~4시간에 최대경직상태를 유지하...2024.11.24